2024.04.23 (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11월 소비자물가 3.7% 상승...10년래 최대 상승률

상품·서비스 다 올라 연중 최고 상승률...통신비 기저효과 사라져
물가 상승률이 두 달 연속 3%대 기록...2012년 1,2월 이래 처음

 

【 청년일보 】 11월 소비자물가가 3.7% 오르면서 10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10월 물가 상승을 주도했던 통신비 기저효과는 대부분 사라졌으나 농축수산물과 석유류 등 공업제품, 집세와 외식 등 서비스 물가가 일제히 올랐다.

 

2일 통계청에 따르면 1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9.41(2015년=100)로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3.7% 올랐다.

 

이는 2011년 12월(4.2%)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며 올해 들어 최고치다. 물가 상승률이 두 달 연속 3%대를 기록한 것도 2012년 1월(3.3%)과 2월(3.0%) 이후 처음이다.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월(2.3%), 5월(2.6%), 6월(2.4%), 7월(2.6%), 8월(2.6%), 9월(2.5%) 등으로 6개월 연속 2%대를 기록하다가 10월 3.2%로 뛰어올랐다. 더욱이 11월에는 오름폭을 더욱 키웠다.

 

11월 물가 상승률 3.7% 중 2.9%포인트(p)는 석유류(1.32%p), 개인서비스(0.96%p), 농축수산물(0.64%p) 기여했다. 11월 물가 상승은 기름값, 외식비 등 서비스 가격,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이 주도했다는 의미다.

 

석유류는 35.5% 상승해 2008년 7월(35.5%)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휘발유(33.4%), 경유(39.7%), 자동차용 LPG(38.1%), 등유(31.1%)가 모두 크게 상승했다.

 

정부가 지난달 12일부터 유류세를 20% 인하했지만, 인하분이 실제 현장 가격에 반영되는 데 시간이 걸려 물가 상승 폭을 낮추는 효과는 제한적이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우윳값 상승 등 여파로 빵(6.1%)을 비롯한 가공식품도 3.5% 상승했다. 석유류와 가공식품이 모두 오르면서 공업제품은 5.5% 올라 2011년 11월(6.4%) 이후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으며, 전기·수도·가스는 1.1% 올랐다.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 시행으로 소비가 늘어나면서 서비스 가격도 크게 올랐다. 생선회(9.6%) 등 외식이 3.9% 올랐다.

 

보험서비스료(9.6%) 등 외식 이외 서비스도 2.3% 올라 개인서비스는 3.0% 상승했다. 개인서비스 상승 폭 역시 2012년 1월(3.1%)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집세 역시 1.9% 올랐다. 전세는 2.7% 올라 2017년 10월(2.7%) 이후 가장 상승 폭이 컸으며, 월세도 1.0% 상승해 2014년 6월(1.0%) 이후 처음으로 1%대를 기록했다.

 

다만 10월 5.4% 상승률을 기록하며 10월 물가를 주도했던 공공서비스는 11월 0.6%로 상승하는데 그쳤다. 지난해 통신비 지원 기저효과가 대부분 사라졌기 때문이다.

 

오름세가 잦아드는가 싶었던 농축수산물도 기온 급감에 따른 작황 부진 등으로 11월에는 상승률 7.6%를 기록했다. 농축수산물 상승률은 8월 7.8%에서 9월 3.7%, 10월 0.2%로 축소되다가 이번에 다시 확대됐다.

 

오이(99.0%), 상추(72.0%)가 대폭 올랐고 달걀(32.7%), 수입쇠고기(24.6%), 돼지고기(14.0%) 국산쇠고기(9.2%)도 값이 크게 뛰었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2.3% 올랐으며, 체감물가를 설명하는 생활물가지수는 5.2% 올랐다. 이는 2011년 8월(5.2%) 이후 가장 높은 상승 폭이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국제유가나 곡물·원자재 가격 추이를 볼 때 석유류 등 공업제품 가격의 오름세가 둔화할 가능성은 크지 않고 개인서비스도 방역체계 전환, 소비심리 회복으로 오름세 지속 가능성이 크다"며 "12월 물가도 상당폭의 오름세를 지속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 청년일보=이나라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