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0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덜 내고 빨리 받는' 공적연금...한경연 "제도개선 시급"

한경연, 한국과 주요 5개국 고령화 실태·연금제도 비교
2020년 기준 한국의 노인빈곤율 OECD 37개국 중 1위
노후소득원으로 연금 역할 부족...사적연금도 활성화해야

 

【 청년일보 】 한국의 공적연금 제도는 주요 5개국 G5보다 '덜 내고 더 빨리 받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어 연금 고갈이 가속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빠른 고령화, 노인빈곤 문제, 국민연금 고갈 등을 고려할 때 하루빨리 연금제도 개혁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13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통계청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20년 기준 한국의 노인빈곤율은 40.4%로 조사대상 OECD 37개국 중 1위였다고 밝혔다.

 

이는 주요 5개국(G5) 평균인 14.4%의 약 3배에 달하는 수치다. 우리나라 다음으로는 미국(23.0%), 일본(20.0%), 영국(15.5%), 독일(9.1%), 프랑스(4.4%) 등의 순이었다.

 

데이터에 따르면 한국은 고령화도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은 올해 기준 17.3%로 G5보다 낮은 수준이지만, 2025년에는 20.3%로 미국(18.9%)을 제치고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됐다. 2045년에는 37.0%로 세계 1위인 일본(36.8%) 역시 추월할 것으로 조사됐다.

 

이같이 고령화와 노인빈곤 문제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에서도 한국의 공적·사적연금은 노후소득보장 기능을 제대로 해내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노후생활의 주요 소득원을 비교한 결과 한국은 국민연금·기초연금 등 공적 이전소득 비중(25.9%)이 G5 평균(56.1%)보다 현저히 낮았다. 사적연금·자본소득과 같은 사적 이전소득(22.1%)의 공적연금 보완기능도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은 G5와 달리 노후소득의 절반 이상(52.0%)을 근로소득에 의지하고 있었다. 은퇴 전 평균 소득 대비 연금지급액 수준을 의미하는 공·사적연금 소득대체율을 살펴봐도 한국은 2020년 기준 35.4%로, G5 평균(54.9%)보다 훨씬 적었다.

 

이같은 상황에서도 한국의 공적연금 제도는 G5보다 '덜 내고 더 빨리 받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는 만큼, 연금 고갈이 더욱 빨라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연금 수급 개시 연령은 현행 62세에서 2033년 65세로 3년 늦춰질 예정이다. 하지만 이는 G5(현행 65∼67세→67∼75세 상향 예정)에 비해서는 여전히 빠른 수준이다.

 

또 한국의 보험료율은 9.0%로 G5 평균(20.2%)의 절반에도 못 미쳤고, 최대치를 받을 수 있는 기본연금액에 필요한 가입 기간도 20년으로, G5 평균(31.6년)보다 10년 이상 짧았다.

 

더욱이 한국은 사적연금 제도 역시 G5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흡한 편이었다. 15∼64세 인구 중 사적연금 가입자의 비율은 한국이 17.0%로, G5 평균 55.4%를 하회했다.

 

정부의 낮은 세제 지원율(한국 19.7%·G5 29.0%)로 사적연금에 대한 유인이 부족한 점이 낮은 가입률의 한 원인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한경연은 연금개혁이 당장 이뤄지지 않는다면 막대한 세부담이 미래 세대에 전가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국민연금 수입에서 지출을 뺀 재정수지는 2039년 적자로 전환되고 적립금은 2055년에 소진될 전망이다. 또 국민연금 가입자 100명당 부양해야 할 수급자 수는 2020년 19.4명에서 2050년 93.1명으로 5배 급증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현재의 국민연금 체계가 유지될 경우 2055년에 국민연금 수령 자격이 생기는 1990년생부터 국민연금을 한 푼도 받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는 게 한경연의 주장이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다가올 초고령사회에서 노후소득기반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국민연금 개혁과 함께 세제지원 확대 등의 사적연금 활성화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 청년일보=이나라 기자 】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