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보통 사람이 통과해온 묵직한 역사

 새해 첫 완독한 책이다. <시시한 역사아버지>(우일문, 2019, 유리창)가 주문후 도착하자마자 단숨에 읽었다착잡하다폭압적인 한국의 현대사가 보통의 한국인들에게 어떤 수난과 고통을 가했는지 작가 아버지가 겪은 개인사를 통해 생생하게 들여다볼 수 있다. 6.25는 끝나지 않았다.

               이념에 가윌 눌린 아버지의 개인사를 통해 한국 현대샤의 아픔을 복원해낸 우일문 

                저 '시시한 아버지'표지. (사진=남궁은 기자)

 

작가의 아버지는 6.25 당시 인민군 치하의 상황에서 인민의용군으로 입대해야만 했다. 18세의 고등학교 1학년생이었다가족회의에서 징발을 결정하는 과정은 가화만사성을 앞세우는 대가족제하의 가부장제가 힘없는 한 개인에게 어떤 굴레가 되는지를 보여 준다(‘네가 가라인민의용군’ pp. 116-122). 

 

이후 그는 전쟁의 와중에서 미군에게 포로가 되었고 거제도 포로수용소를 거쳐 천신만고 끝에 자유의 몸이 되었다그러나 그를 따라다닌 것은 민간인 억류자라는 타이틀즉 부역자였다이후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1957년에 다시 한국군에 자원입대해 36개월을 복무했으나 그 전력은 상쇄되지 않았다그의 국가는 원칙도 상식도 없었다’.

 

이후 공무원도 은행원도 다른 무엇도 될 수 없던명문 도상(道商경기공립상업중학교경기상고의 전신출신의 아버지는 사회와 절연한 채 농투성이로 살아간다작가는 아버지는 국가의 조롱과 멸시에 모욕과 수치를 느꼈지만 두려워서 평생 내색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작가가 기억하는 아버지의 모습은 늘 화가 나 있었다고 한다아마도 시대에 대한 분노나라에 대한 분노일 것이다궁극적으로는 자신과 자신의 운명에 대한 분노가 아니었을까자신의 힘으로 아무 것도 바꿀 수 없는 그가 스스로에게 화를 내는 것 외에 더 무엇을 할 수 있었을까.

 

이 책을 보다 보니 사회학자로서 자신의 부모 이야기를 복원한 노명우 교수의 <인생극장>(2018, 사계절)이 자연스럽게 떠오른다개인사미시사를 통한 역사적 기록의 추적이라는 점에서 접점이 있다노명우 교수의 아버지는 1924년생우일문 작가의 아버지는 1932년생이다노 교수의 아버지는 일제 말기에 징병되어 나고야에서 복무한 것으로 나온다수난의 한국사를 그도 피해갈 수는 없었다

 

공교롭게도 <인생극장>의 주인공이 살아간 주 무대는 파주 광탄, <시시한 역사아버지>의 주인공은 파주 탄현이다공통적인 것은 파주라는 지명일 뿐그들이 걸어간 행로는 다르다몇 가지 우연과 시기적인 차이가 사람마다 다른 삶을 교직하게 만든다두 작품 모두 아버지 세대에 대한 회한과 연민이 배어 있다

 

6.25를 겪은 아버지의 이야기가 중심이다 보니 한국전쟁을 온몸으로 겪은 역사학도의 일기를 표방한 김성칠의 <역사 앞에서>(1993 초판수정판 2018, 창비)도 떠올릴 수 있다그의 아들인 역사학자 김기협은 작가 우일문과 오랜 교분이 있는 사이다. ‘부모님의 모습을 밝힘으로써 그분들에 대한 이해를 더 깊이 하고(...) 그분들이 겪은 시대상을 밝히고 있다는 글을 뒷표지에 수록했다. <역사 앞에서>, <인생극장>, <시시한 역사아버지>는 각각의 방법으로 한국 현대사를 소환하고 있다.

                                             조기형(뉴스트러스트 편집위원/방송인)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