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시중은행. [로고=각사]](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20834/art_16611388556881_1c4f9a.jpg)
【 청년일보 】 22일부터 은행별 예대금리차(대출금리-예금금리)가 공개된 가운데, 5대 시중은행 중에서는 신한은행의 가계 대출·예금 금리 격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통은행보다 중·저신용자에 높은 금리로 많이 대출해 준 인터넷은행의 예대금리차가 뚜렷하게 커 최대 5%포인트(p)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날 오전 11시 게시된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의 '예대금리차 비교' 통계에 따르면 7월 현재 신한은행의 가계 예대금리차(가계대출금리-저축성수신금리)는 1.62%포인트(p)다. 해당 은행은 최근 서민대출을 적극적으로 늘린 결과, 이 같은 금리 상황이 나타났다고 해명했다.
이어 우리은행(1.40%포인트), NH농협은행(1.40%포인트), KB국민은행(1.38%포인트), 하나은행(1.04%포인트) 등의 가계 예대금리차가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중·저신용자에 대한 중·고금리 대출 비중이 큰 인터넷은행의 가계 예대금리차는 2%포인트 이상으로, 시중은행들을 크게 웃돌았다. 케이뱅크가 2.46%포인트, 카카오뱅크가 2.33%포인트 수준이었고, 토스뱅크는 5.60%포인트를 기록했다.
한편, 기업대출까지 포함한 전체 은행의 예대금리차(대출금리-저축성수신금리)를 보면, 5대 은행 가운데 NH농협은행이 1.36%포인트로 가장 큰 것으로 파악됐다. 우리은행(1.29%포인트), KB국민은행(1.18%포인트), 신한은행(1.14%포인트), 하나은행(1.10%포인트)이 뒤를 이었다.
【 청년일보=임혜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