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이익의 감소로 인해 이자비용을 충당하기 힘든 국내 대기업이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청년일보]](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31041/art_16968963358706_716e6c.jpg)
【청년일보】 영업이익의 감소로 인해 이자비용을 충당하기 힘든 국내 대기업이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경영분석 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10일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올해 상반기 사업보고서를 제출한 347개 기업의 이자보상배율을 조사한 결과, 1.16으로 지난해 상반기의 4.42 대비 무려 3.26p(74%) 떨어졌다.
이 기간 이들 기업의 영업이익은 149조6천752억원에서 89조3천208억원으로 41.7% 줄어든 반면, 이자 비용은 33조8천807억원에서 75조694억원으로 121.6% 늘어났기 때문이다.
이자보상배율이란 기업이 영업으로 번 돈과 이자 비용을 비교해 보여주는 재무건전성 지표다.
이 배율이 1 미만이면 영업활동에서 창출한 이익으로 금융 비용도 감당할 수 없다는 뜻이다. 통상 이자보상배율이 3년간 1 미만이면 잠재적 부실기업을 뜻하는 '좀비기업'으로 불린다.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기업 수는 전년 상반기 47개에서 올해 상반기 98개로 2배 이상으로 늘었다. 2년 연속 이자보상배율 0 미만인 기업은 37개였다.
한국전력공사를 비롯해 발전 공기업인 한국중부발전, 한국남동발전, 한국서부발전, 지역난방공사 등과 이마트, 롯데쇼핑, 호텔롯데, 컬리 등 유통 기업들이 이름을 올렸다.
조사 대상 기업 중 이자보상배율이 가장 높은 기업은 코리안리로 1천810.2에 달했다. 이어 ▲한전KPS(666.5) ▲롯데정밀화학(364.6) ▲BGF리테일(326.4) ▲삼성화재(313.9) ▲대한제강(215.1) ▲LX세미콘(187.6) ▲현대엔지니어링(185.6) 순으로 나타났다.
21개 업종 중 조선 및 기계설비 업종만 지난해보다 이자보상배율이 1.3에서 5.2로 상승했고 나머지 20개 업종은 모두 하락했다.
이자보상배율이 높은 업종은 제약(10.8), 보험(8.3), 자동차 및 부품(6.5), 통신(5.3) 등으로 나타났다. 반면 공기업(-2.5), IT 전기전자(-0.45) 등은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청년일보=이창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