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내수·투자 '삼중고' 직면"…산업硏, 韓경제 성장률 2.1→1.0% 대폭 하향

등록 2025.05.27 16:04:20 수정 2025.05.27 16:04:20
조성현 기자 j7001q0821@youthdaily.co.kr

트럼프發 통상 불확실성 확산…對美 수출 감소세 뚜렷
반도체·바이오 선전에도…9개 주력 산업 수출 '뒷걸음'
설비투자 소폭 반등에도…내수·건설 부진 장기화 우려

 

【 청년일보 】 국책 연구기관인 산업연구원이 올해 한국의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1%에서 1.0%로 대폭 하향 조정했다. 수출 부진, 내수 침체, 투자 회복세 둔화 등 이른바 '삼중고'에 직면한 데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 복귀 가능성이 현실화되면서 대외 불확실성이 확대된 것이 주요 배경이다.

 

산업연구원은 27일 발표한 '2025년 하반기 경제·산업 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상반기 성장률을 0.5%, 하반기를 1.4%로 추정하면서 연간 실질 성장률이 1.0%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지난해 말 발표한 2.1% 전망치에서 1.1%포인트 낮춘 수치다.

 

이날 발표된 보고서에서 산업연구원은 "올해 국내 경제는 미 관세정책의 불확실성에 따른 교역 둔화로 수출 부진이 심화되고, 신정부의 정책 효과에도 불구하고 내수 회복이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며 "전반적으로 1% 내외의 저성장이 불가피하다"고 평가했다.

 

앞서 한국개발연구원(KDI)도 올해 성장률 전망을 0.8%포인트 낮춘 1.6%로 조정한 바 있어, 오는 29일 예정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성장률 조정 여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산업연구원은 올해 수출액이 6천706억달러로 전년 대비 1.9%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지난해 말 전망했던 2.2% 증가(7천20억달러)를 뒤엎는 수치로, 사상 첫 7천억달러 돌파 기대가 무산된 셈이다.

 

이 같은 수출 감소는 반도체 등 일부 품목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석유화학과 석유제품 가격 하락, 주요국 수요 위축, 그리고 전년 호조에 따른 역기저 효과 등 복합 요인이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특히 산업연구원은 "미중 무역분쟁과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 불확실성이 여전한 가운데, 미국의 관세 조치가 본격화될 경우 한국의 대미 수출 부진이 두드러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대미(對美) 수출 구조를 분석한 결과, 2023년 기준 한국의 대미 부가가치 수출 중 경유국 비중이 멕시코(25.5%), 중국(20.5%), 베트남(19.7%)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의 관세 타깃국들과 중복되며 한국 수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13대 주력 수출 산업 중 반도체(5.8%), 바이오헬스(11.0%), 조선(10.2%), 정보통신기기(5.4%) 등 4개 산업은 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반도체는 인공지능(AI) 산업 성장의 수혜를 입을 것으로 기대된다.

 

반면, 자동차(-8.0%), 정유(-19.3%), 일반기계(-7.2%), 석유화학(-5.3%) 등 9개 산업은 역성장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는 미국의 고관세 부과와 중국 업체들의 글로벌 전략 변화 영향을, 정유는 유가 하락에 따른 단가 축소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설비투자는 전년 대비 1.8%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으나, 건설투자는 4.7% 감소할 것으로 전망돼 전후방 산업 전반에 부정적 영향이 예상된다. 이에 따라 전체적인 투자 여건이 경제 회복에 큰 기여를 하기는 어렵다는 평가다.

 

산업연구원은 “미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이 높은 인건비와 물가 등으로 인해 2023년 기준 필요한 제품의 59%를 한국에서 조달하고 있다”면서도 “최근 현지 조달 비중이 확대되면서 미국 산업과의 연계가 강화되는 구조로 변화 중”이라고 분석했다.

 

산업연구원은 이번 보고서에서 한국 경제가 처한 저성장 기조를 극복하기 위해 "대외 리스크에 대한 선제 대응과 내수 회복을 위한 확장적 정책 기조 유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미국의 통상정책 불확실성이 커질 경우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는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며 "무역 다변화, 고부가가치 산업 육성, 글로벌 공급망 재편 대응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저작권자 © 청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선유로49길 23, 415호 (양평동4가, 아이에스비즈타워2차) 대표전화 : 02-2068-8800 l 팩스 : 02-2068-8778 l 법인명 : (주)팩트미디어(청년일보) l 제호 : 청년일보 l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6 l 등록일 : 2014-06-24 l 발행일 : 2014-06-24 | 편집국장 : 성기환 | 고문 : 고준호ㆍ오훈택ㆍ고봉중 | 편집·발행인 : 김양규 청년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9 청년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youth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