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835/art_1756338587841_d44670.jpg)
【 청년일보 】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이 27일(현지시간) 트럼프 행정부가 반도체 다음으로 기업 지분을 인수할 가능성이 있는 산업으로 조선업을 지목했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폭스비즈니스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반도체 기업인 엔비디아의 지분 확보도 고려하냐는 질문에 "엔비디아가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이어 "그건 지금 당장 논의 대상이 아닌 것 같다. 하지만 다른 산업들이 있을 수 있다. 조선업같이 우리가 재편하는 어떤 것들, 그런 것들이 있을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런 것들은 우리가 미국에서 자급자족해야 하는 대단히 중요한 산업들이다. 그런데 지난 20, 30, 40년간 이를 방치했다"고 설명했다.
미국 정부가 미국 조선업체의 지분을 확보하려고 할 경우 한국이 미국에 제공하기로 한 1천500억달러 규모의 조선업 전용 투자 패키지와 함께 논의가 진행될지 주목된다.
양국이 합의한 1천500억달러 조선업 투자 패키지는 아직 그 성격이 명확하지 않고, 양국 간 협의가 더 필요한 상황이다.
앞서 미국 정부는 인텔에 반도체법에 근거한 보조금을 비롯한 총 111억달러를 투자하고 그에 상응하는 인텔 지분 10%를 확보하기로 했다. 인텔의 경우 미국 정부가 인텔에 제공하는 보조금의 성격을 투자로 바꿔 투자액만큼의 지분을 확보했다.
이후 다른 핵심산업에 속한 미국 기업도 인수하겠다는 의향을 드러내고 있지만, 아직 구체적인 산업을 확정하지는 않은 분위기다.
앞서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은 전날 CNBC 방송 인터뷰에서 정부가 미국 방산업체의 지분 확보를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날 베선트 장관은 "우리가 방산업체 지분을 가질 필요가 있는지 모르겠다"면서 다소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했다.
그는 "우리는 방산업체들이 미군에 (제품을) 충분하게 적시에 인도하는 측면에서 그들의 임무를 완수하고 있는지, 주주 이익을 과도하게 강조하는 게 아닌지 보겠다"고 말했다.
한편 베선트 장관은 유럽은행에 동결된 3천억달러 규모의 러시아 자산의 처분 문제가 트럼프 대통령이 중재하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종전 협상에서 "협상 카드"로 사용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러시아 동결 자산은 푸틴(러시아 대통령) 대통령과의 협상의 일부"라며 "그래서 난 우리가 자산을 즉각 압류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그건 큰 협상 과정에서 카드이며 우리는 자산의 일부가 우크라이나 재건에 사용되는지 보겠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