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30일 오전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현장에서 감식 관계자들이 불이 붙었던 무정전·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배터리의 상태를 살피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1040/art_17592756709244_56f577.jpg)
【 청년일보 】 지난달 26일 대전 본원에서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정부 전산시스템이 멈춰 선 지 6일째에 접어들었지만, 복구율은 여전히 10%대에 머물고 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정부는 전날까지 공무원 130명과 전산 운영·유지관리 인력 570여명 등 총 700여명을 투입해 복구작업을 진행했다. 그러나 전체 647개 시스템 가운데 업무 파급도가 큰 1·2등급 시스템을 우선 복구하는 방침 탓에, 3·4등급 시스템은 상대적으로 후순위로 밀려 전체 복구율 상승세는 제한적이다.
특히 1등급 시스템의 복구율은 50%를 넘어섰지만, 전체 시스템의 3분의 2에 해당하는 3·4등급 복구는 아직 속도를 내지 못하는 상황이다.
정부는 국민 생활과 직결된 '정부24'와 무인민원발급기 등 주요 민원 서비스가 정상화됨에 따라 불편은 이어지고 있으나 대규모 행정 혼란은 발생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문제가 된 시설은 국정자원 대전 본원 5층 7-1전산실로, 내부에 있던 96개 시스템이 전소돼 재가동이 불가능한 상태다. 이에 따라 정부는 대구센터 민관협력 클라우드로 이관해 복구를 추진 중이며, 완전 정상화까지 약 4주가 소요될 것으로 내다봤다.
같은 층에 위치한 7·8전산실은 직접 불에 타지는 않았으나 분진 피해로 인해 정밀 점검 및 청소 후 순차 재가동 절차를 밟고 있다.
김민재 중대본 제1차장(행정안전부 차관)은 "일부 시스템은 다수 기관과 연계돼 있어 예상보다 복구 기간이 길어질 수 있다"며 "신속히 장애를 복구하고 조속히 안정화를 이루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전날 불에 탄 전산실 내 포함된 647개 정보시스템 목록을 처음 공개, 관련 기관과 국민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 불편을 최소화하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