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녹십자 “‘코로나19’ 혈장치료제 개발, 1상 없이 2·3상 시작”

등록 2020.06.22 08:39:36 수정 2020.06.22 14:06:29
안상준 기자 ansang@youthdaily.co.kr

올 하반기 개발 완료되면 전면 무상 공급 예정

 

【 청년일보 】 ‘코로나19’ 완치자의 혈장 공여가 이어지며 ‘혈장치료제’ 개발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혈장치료제가 오랜 기간 인체에 사용해온 면역글로불린 제제여서 안전성 우려가 크지 않다는 점도 개발 속도를 높이는 요인 중 하나다.

 

22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GC녹십자는 개발 중인 코로나19 혈장치료제의 안전성을 검증하는 임상 1상 없이 내달 중 효능을 확인하는 임상 2상 또는 3상 시험을 시작할 예정이다.

 

이는 완치자의 혈액 속 혈장을 활용한 혈장치료제의 특성상 안전에 큰 문제가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GC녹십자 관계자는 “임상 1상 시험 없이 임상 2상 또는 3상부터 할 수 있도록 유관기관과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최근 들어 완치자가 혈장을 많이 공여한 것도 임상시험 절차를 순조롭게 하는 요인이다. 지난 19일 오후 5시 기준 국내 코로나19 완치자 1만800여명 중 169명이 혈장치료제 개발을 위해 혈장을 공여하기로 했다.

 

애초 GC녹십자는 혈장치료제 개발을 위해 최소 100명이 넘는 완치자의 혈장이 필요하다고 예상했으며, 의료계와 방역당국에도 120∼130명 정도가 필요하다고 예측했다. 다만 완치자마다 혈장에 보유하고 있는 중화항체 능력이 모두 달라 단순한 목표치를 제시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여기에 현재 혈장 공여를 약속한 완치자 중 몇 명이나 채혈이 가능할지는 검사를 해봐야 알 수 있다. 현재 채혈을 완료한 완치자는 15명뿐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개발과 향후 생산까지 고려했을 때 혈장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는 게 업계와 당국의 공통된 의견이다.

 

GC녹십자 관계자는 “애초 계획대로 내달 시작하는 데는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며 “혈장 공여를 약속한 완치자 중에서도 채혈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을 수 있기에 더 많은 협조가 절실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GC녹십자는 코로나19 혈장치료제의 개발이 완료되는 대로 국내 환자들에 무상 공급할 예정이며 올해 하반기 상용화가 목표다.

 

【 청년일보=안상준 기자 】




저작권자 © 청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로35길 4-8, 5층(당산동4가, 청년일보빌딩) 대표전화 : 02-2068-8800 l 팩스 : 02-2068-8778 l 법인명 : (주)팩트미디어(청년일보) l 제호 : 청년일보 l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6 l 등록일 : 2014-06-24 l 발행일 : 2014-06-24 | 회장 : 김희태 | 고문 : 고준호ㆍ오훈택ㆍ고봉중 | 편집·발행인 : 김양규 청년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9 청년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youth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