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사건사고 주요이슈]수도권 '2.5단계' 연장…野, 추미애 장관 아들과 보좌관 검찰고발 外

등록 2020.09.06 00:00:00 수정 2020.09.06 07:28:01
안성민 기자 johnnyahn74@daum.net

 

【 청년일보 】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폭증은 잦아든 가운데 크고 작은 집단감염이 전국 곳곳에서 속속 발생하며 불안과 긴장 속에서 제9호 태풍 '마이삭'을 떠나보낸 한 주였다.

 

정부는 6일 종료 예정인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를 13일까지 1주일 더, 전국에 시행중인 2단계도 2주간 더 연장하기로 결정하면서 재확산의 기세를 확실하게 잡겠다는 의지를 재차 강조했다.  아울러 교회·방문판매업체 등 기존 위험장소·시설뿐만 아니라 동네 치킨집, 아파트, 실내체육시설, 김치공장 등에서도 크고 작은 집단감염이 새롭게 발생해  '안전한 곳은 없다'는 방역당국의 경고가 사실로 드러나고 있다.

 

한편, 서울시 25개 자치구 중 확진자 발생률은 사랑제일교회가 위치한 성북구가 64.28명을 기록해 1위를 차지했다. 제9호 태풍 '마이삭'으로 인해 사망 2명, 부상 5명 등 7명의 인명피해와 152세대 255명의 이재민(누적인원)이 발생했으며, 제10호 태풍 '하이선'의 북상 과정에서 최대풍속 56m의 초강력급 태풍으로 발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또 다시 긴장 상태다.

 

이밖에도 미래통합당 신원식 의원은 추미애 법무부장관 아들의 병가 연장 의혹과 관련해 "당시 추미애 의원 보좌관으로부터 전화가 왔다"는 부대 관계자의 녹취를 공개해, 추 장관 아들 서씨와, 추 장관의 보좌관, 군 관계자 등 5명을 군형법 등을 위반한 혐의로 대검찰청에 고발할 것을 시사했다. 

 

또한 자녀 입시 비리와 사모펀드 의혹 등으로 기소된 조국(55) 전 법무부 장관이 배우자인 정경심(58) 동양대 교수 재판에 증인으로 출석했으나 모든 증언을 거부하는 기행을 연출하기도 했다.

 

◆ 수도권 '2.5단계' 13일까지 1주일 연장…전국 2단계는 20일까지

 

정부가 오는 6일 종료 예정인 수도권 방역 강화 조치, 즉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를 13일까지 1주일 더, 전국에 시행중인 2단계도 2주간 더 연장하기로 결정.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4일 정례 브리핑에서 수도권 지역의 음식점과 프랜차이즈형 카페, 학원, 실내체육시설 등의 영업제한 또는 운영중단 조치 외에, 매장 영업을 할 수 없는 프랜차이즈형 카페에 제과제빵점, 아이스크림·빙수점이 추가됐다고 발표.

 

한때 400명대까지 치솟았던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100명대 후반까지 떨어지긴 했지만, 아직 안심할 수 없는 단계인 만큼 당분간 강화된 거리두기를 통해 재확산의 기세를 확실하게 잡겠다는 취지로 해석.

 

◆ 치킨집부터 김치공장까지 감염 확산…"방심하면 일상 멈춘다"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일상 곳곳으로 파고들면서 '안전한 곳은 없다'는 방역당국의 경고가 조금씩 현실이 되고 있어 주목.

 

최근의 감염 흐름을 보면 교회, 방문판매업체 등 기존에 위험 장소로 지목된 시설이나 장소뿐만 아니라 동네 치킨집, 아파트, 실내체육시설, 고스톱 모임, 골프장, 김치공장 등에서도 크고 작은 집단감염이 새롭게 발생하는 양상.

 

이는 '사회적 거리두기'가 수도권에는 2.5단계, 전국에는 2단계로 시행되고 있지만, 감염 위험성에 대한 인식이 상대적으로 낮은 상점이나 지인 간 모임 등에서는 거리두기의 실천율이 떨어지는 것과도 관련 있는 것으로 보인다는 의견도 제기.

 

◆ 신규확진 168명, 사흘째 100명대…소폭 감소세 속 산발적 감염 지속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5일 0시 기준으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68명 늘어 누적 2만1천10명이라고 밝혀.

 

신규 확진자 수는 수도권 집단감염이 본격화한 지난달 중순부터 급증해 27일 441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조금씩 감소해 3∼4일에는 200명에 육박한 100명대 후반, 이날은 100명대 중반을 기록.

 

그러나 수도권 교회와 도심집회 관련 확진자로 인한 'n차 감염'이 지속하고 있는 데다 상급종합병원, 실내포차, 건강식품 설명회 등 일상 곳곳에서 산발적인 집단감염이 잇따르고 있어 언제든 확산세가 다시 고개를 들 수 있는 상황.

 

◆ 서울 인구 10만명당 코로나 발생률 최고 지역은 성북구

 

지난달 중순부터 서울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재확산한 가운데 자치구별 확진자 발생률이 큰 차이를 보여 눈길.

 

4일 서울시 공공보건의료재단의 코로나19 현황 분석 자료에 따르면 지난 2일 0시 기준으로 서울시 전체의 인구 10만명당 확진자 발생률은 41.79명으로, 25개 자치구별로 비교해 보면 가장 높은 곳은 64.28명을 기록한 성북구였고, 이어 관악구가 51.63명, 동작구가 45.55명, 노원구가 45.38명, 종로구가 45.22명을 기록.

 

성북구와 노원구는 사랑제일교회 관련 확진자가 각각 103명과 76명이나 됐고, 교회 집단감염 여파가 가장 컸던 성북구는 서울 전체 확진자 수(4천62명)에서 차지하는 비중으로 따져도 7.0%(284명)로 1위였다고.

 

◆ 태풍 '마이삭' 이재민 255명으로 늘어…농경지 1만2천892㏊ 피해

 

4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제9호 태풍 '마이삭'으로 인한 인명피해는 사망 2명, 부상 5명 등 모두 7명으로 집계됐다고 발표.

 

이재민(누적인원)은 152세대 255명으로 전날보다 200명 가까이 늘어 이 가운데 80명이 마을회관이나 경로당 등 임시주거시설에 머무르고 있고, 시설피해는 공공시설 피해 982건, 사유시설 809건 등 1천791건으로 전날보다 200여건 늘었다고.

 

농경지 피해면적은 벼 쓰러짐(도복) 8천39㏊, 낙과 등 1천954㏊, 매몰 2천159㏊, 침수 740㏊ 등 1만2천892㏊을 기록.

 

◆ 북상 '하이선' 이동경로 일부 동쪽으로…남북 관통 큰 피해 우려

 

제10호 태풍 '하이선'의 상륙을 앞두고 북상 과정에서 최대풍속 56m의 초강력급 태풍으로 발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 예상 이동경로도 한반도 중앙을 남에서 북으로 관통하기 때문에 한반도가 초긴장 상태.

 

하이선이 우리나라에 상륙할 때는 그 기세가 다소 누그러질 것으로 보이나 여전히 강한 수준을 유지하고, 또 태풍이 지나가는 과정에서 수도권 비롯한 다수 지역이 중심 부근에 놓이면서 직전의 제9호 태풍 '마이삭'보다 훨씬 더 큰 영향을 미칠 전망.

 

특히 마이삭이 우리나라를 지나간 지 불과 나흘 만에 또다시 하이선이 상륙함에 따라 이미 피해를 본 지역은 복구를 채 마치기도 전에 새로운 태풍을 맞는 이중고의 상황에 부닥치게 됐다고.

 

◆ 야 "보좌관 전화 왔었다" 녹취공개…추미애·보좌관 고발

 

미래통합당 신원식 의원은 2일 추미애 법무부장관 아들의 병가 연장 의혹과 관련해 "당시 추미애 의원 보좌관으로부터 전화가 왔다"는 부대 관계자의 녹취를 공개.

 

신 의원이 이날 기자회견에서 공개한 녹음파일에 따르면 추 장관 아들 서모씨가 근무한 부대의 지원장교 A대위는 지난달 30일 신 의원 측과 통화에서 "추 의원 보좌관으로부터 서 일병 병가가 연장되는지 문의하는 전화가 왔는데, 보좌관 역할 자체는 국회의원의 업무를 보좌하는 건데 왜 보좌관이 굳이 이걸 해야 하지 하는 생각을 했었다"고 토로.

 

이에 미래통합당은 추 장관 아들 서씨와 추 장관의 보좌관, 군 관계자 등 5명을 군형법 등을 위반한 혐의로 대검찰청에 고발하겠다고 밝혀.

 

◆ 정경심 재판에 나온 조국 증언거부…검찰 "진실 밝히겠다더니"

 

자녀 입시 비리와 사모펀드 의혹 등으로 기소된 조국(55) 전 법무부 장관이 배우자인 정경심(58) 동양대 교수 재판에 증인으로 출석했으나 모든 증언을 거부하는 기행을 연출.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2부(임정엽 권성수 김선희 부장판사)는 3일 정 교수의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위반 등 혐의 사건 공판에 조 전 장관을 증인으로 불렀고, 조 전 장관은 이날 법정에서 증인 선서를 한 뒤 "나는 배우자의 공범으로 기소돼 재판이 진행 중으로, 이 법정에서 진행되는 검찰의 신문에 형사소송법상 부여된 권리를 행사하겠다"고 밝혀.

 

조 전 장관은 이날 정 교수 혐의에 관련한 검찰의 모든 질문에 "자신 또는 친족이 처벌받을 가능성이 있는 경우 증언을 거부할 수 있다고 명시한 조항인 형사소송법 148조에 따르겠다"고 반복해서 답한 것에 대해 검찰은 "법정에서 시시비비를 가릴 시간이 됐는데도 법률에 보장된 권리라는 이유를 들어 증언을 거부한다고 하니 납득하기 어렵고 매우 안타깝다"고 말해.

 

【 청년일보=안성민 기자 】




저작권자 © 청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선유로49길 23, 415호 (양평동4가, 아이에스비즈타워2차) 대표전화 : 02-2068-8800 l 팩스 : 02-2068-8778 l 법인명 : (주)팩트미디어(청년일보) l 제호 : 청년일보 l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6 l 등록일 : 2014-06-24 l 발행일 : 2014-06-24 | 편집국장 : 성기환 | 고문 : 고준호ㆍ오훈택ㆍ고봉중 | 편집·발행인 : 김양규 청년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9 청년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youth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