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3 (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고물가·채무 상환 부담"···국민 60% "하반기 소비지출 축소"

전경련, '2022년 하반기 국민 소비지출 계획 조사' 실시
‘물가 상승세 지속 및 금리 인상’···소비 리스크 요인 꼽아
소비 활성화 예상 시점···응답자 46.8%, 내년 활성화 전망
“기업활력 제고 등 경제 공급능력 확충 통한 물가안정 시급"

 

【청년일보】 고물가 지속과 금리 인상에 따른 채무 상환 부담 증가로 인한 소비여력 위축으로, 코로나19 이후 지속되던 민간 소비 증가세가 꺾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27일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만 18세 이상 국민 약 1000명을 대상으로 ‘2022년 하반기 국민 소비지출 계획’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9.7%는 올해 하반기 소비지출을 상반기 대비 축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히 응답자들은 평균적으로 올해 하반기 소비지출이 상반기에 비해 3.6%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최근 우리 경제 성장을 견인하고 있는 민간 소비의 둔화가 현실화될 경우, 올해 성장률 타격이 불가피할 것이란 전경련의 분석이다.

 

소득 분위별로 살펴보면, 소득이 낮을수록 지출을 더 크게 줄일 계획인 것으로 조사됐다. 소득 하위 20%인 1분위의 경우 하반기 소비지출이 상반기에 비해 평균 7.9% 줄어들 것으로 나타난 반면, 상위 20%인 5분위의 경우에는 하반기에도 상반기 수준(∆0.01%)의 지출을 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전경련은 저소득층일수록 최근 경기 침체, 물가 상승의 영향을 많이 받아, 소비 여력이 비례적으로 축소된 영향으로 풀이했다.

 

하반기 소비지출을 축소하는 이유로는 물가 급등(46.3%)이 제일 많았으며 고용·소득 불확실성 확대(11.5%), 채무 상환 부담 증가(10.6%) 등이 뒤를 이었다. 품목별로는 ▲여행·외식·숙박(20.4%) 등 대면 서비스 소비 ▲내구재(15.0%) ▲의류·신발(13.7%)과 같은 준내구재 위주로 지출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이와 달리 ▲음식료품(28.4%) ▲주거비(전·월세 및 전기·가스 등 18.8%) ▲생필품·화장품(11.5%) 등 비내구재는 상반기 대비 지출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전경련은 식료품과 생필품 등은 최근 관련 물가가 급등했지만 필수 소비재로 소비량을 줄이기 어려운 특성이 있기 때문에, 하반기 소비예상 금액이 증가한 것으로 추정했다.

 

국민들은 올해 하반기 소비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리스크 요인으로 ▲물가 상승세 지속(51.0%) ▲금리 인상(28.6%) ▲주식 등 자산시장 위축(9.6%) 등을 지목했다.

 

전경련은 지속된 물가 상승으로 실질구매력은 감소하고, 금리 인상으로 채무 상환 부담이 가중된 데 더해, 주식 등 자산시장 위축으로 인해 미래소득 불확실성마저 확대되고 있어 국민들의 소비 여력이 크게 위축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소비가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하는 시점을 묻는 질문에 대해선 올해 하반기로 응답한 비중은 4.1%에 불과했으며, 응답자의 약 절반(46.8%)은 내년에야 소비가 활성화될 것이라고 응답했다. ‘2024년 이후’와 ‘기약 없음’으로 응답한 비중도 각각 25.2%와 20.4%에 달했다.

 

전경련은 올해 고물가·고금리·고환율의 3고 현상 등 불확실성 지속으로 인해, 국민들이 하반기 소비를 내년 이후로 미루고 있는 상황이라고 내다봤다.

 

이밖에 국민들은 민생 안정과 소비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로 ▲물가 안정(48.2%) ▲금리 인상 속도 조절(17.9%) ▲농수산물 수급 안정화(11.9%) 등을 각각 꼽았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경기침체 우려로 소득 불확실성은 확대되는데 반해, 식료품 등 생활물가는 고공행진이 지속되고 대출 이자는 늘어나고 있어 국민들은 허리띠를 졸라매야 하는 상황”이라면서 “기업활력 제고 등 경제의 공급능력 확충을 통한 물가 안정에 주력하고, 선제적 세제·금융지원으로 가계의 유동성 확보를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