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숙박‧항공 소비자피해 증가...해외직구보다 '빈번'

등록 2023.08.31 09:36:51 수정 2023.08.31 09:38:32
오시내 기자 shiina83@youthdaily.co.kr

서비스 '결제 및 위약금' 피해 다수

 

【 청년일보 】 온라인 해외직구 이용자의 10%, 해외 숙박‧항공 이용자의 22% 이상이 피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온라인 해외직구의 꾸준한 증가와 국외 여행 활성화로 국제거래 관련 소비자상담이 다시 증가하고 있다고 31일 밝혔다. 


한국소비자원이 최근 1년 이내 해외직구 경험이 있는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에 따르면 10.2%(51명)가 피해를 경험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해외 서비스거래의 경우, 숙박 및 항공 이용자 498명 중 22.5%(112명)가 거래 과정에서 피해를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피해 유형을 살펴보면 해외직구에서는 '주문 상품과 다른 제품 수령'(26명, 51.0%), '파손·분실, 배송지연 등 배송사고'(21명, 41.2%) 등의 순으로 많았다. 


해외 서비스거래 중 숙박에서는 '고지된 금액보다 많은 금액 결제', '이중 또는 자동 결제' 등 결제 관련 피해(73명, 38.8%)가, 항공에서는 '취소‧변경 시 과도한 위약금 또는 수수료 부과'(39명, 46.4%)가 가장 많았다.


해외직구, 서비스거래에서 발생한 피해를 구매 사이트에서 해결하지 않는 경우도 빈번했다. 특히, 해외직구의 경우 알리익스프레스는 피해 경험자가 가장 많았을 뿐만 아니라 피해가 해결된 경우도 적어 조사대상 중 피해 해결률이 가장 낮았다(61.3%). 


서비스거래에서 이용자 수 대비 피해 경험자 수가 많은 사이트는 숙박은 부킹닷컴(20명), 익스피디아(10명), 항공은 마이트립(8명), 트립닷컴(13명) 등의 순이었다. 이 중에서도 부킹닷컴(60.0%), 마이트립(50.0%), 트립닷컴(46.2%)은 피해 해결률이 저조했다.

 
소비자들은 안전한 해외직구 및 해외 서비스거래를 위해 가장 개선이 필요한 사항으로 물품구매와 관련해서는 '플랫폼 운영자의 개별 판매자 관리‧감독 강화'가, 서비스거래와 관련해서는 '이중결제, 카드정보 도용 등 결제 관련 피해 해결을 위한 결제 사업자의 적극적인 조치'를 꼽았다.


한국소비자원은 "해외 거래 시 글로벌 플랫폼을 이용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으나 각 플랫폼의 소비자피해 해결률은 국내 사업자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글로벌 플랫폼과 같은 해외 사업자들은 자체 이용약관 등을 내세워 국내 기준에 따른 피해 해결을 거부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해외 사업자에게 물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때는 계약체결 전 거래조건을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소비자원은 국제거래 관련 소비자피해 예방을 위해 소비자에게 먼저 거래를 원하는 온라인 사이트 내 사업자 정보(About Us), 이용약관(Terms & Conditions)을 찾아볼 것을 당부했다. 더불어 국내 사무소 또는 고객센터 유무, 청약철회 조건 또는 예약 변경‧취소 가능 여부, 판매자나 플랫폼과의 연락 방법(24시간 핫라인, 전자우편, 챗봇 등) 등도 미리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해외 물품‧서비스 구매 전 국제거래 소비자포털에 공개된 사기의심사이트와 피해다발 사업자를 확인하고, 관련 내용을 참고해 구매 여부를 결정할 것을 권했다. 


관련한 해외 사업자와 분쟁이 원만히 해결되지 않을 경우, 국제거래 소비자포털에 상담을 신청할 수 있다.



【 청년일보=오시내 기자 】




저작권자 © 청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선유로49길 23, 415호 (양평동4가, 아이에스비즈타워2차) 대표전화 : 02-2068-8800 l 팩스 : 02-2068-8778 l 법인명 : (주)팩트미디어(청년일보) l 제호 : 청년일보 l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6 l 등록일 : 2014-06-24 l 발행일 : 2014-06-24 | 편집국장 : 성기환 | 고문 : 고준호ㆍ오훈택ㆍ고봉중 | 편집·발행인 : 김양규 청년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9 청년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youth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