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좌)와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 [사진=연합뉴스] ](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519/art_17466068431922_4d1acc.jpg)
【 청년일보 】 제21대 대통령 선거가 한 달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거대 양당 대선 후보들이 내세운 산업·노동 분야 공약에 유권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글로벌 인공지능(AI) 패권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두 후보 모두 ‘AI 강국 도약’을 공통된 목표로 삼고 있지만, '친노동'과 '친기업'이라는 상반된 기조를 바탕으로 뚜렷한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
8일 정치권과 경제계에 따르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AI 기술을 ‘경제 성장의 동력’으로 삼겠다며 조(兆) 단위의 대규모 투자 계획을 제시했다.
이 후보는 앞서 지난달 중순 자신의 페이스북에 "AI는 동시대 세계 경제 판도를 바꿀 '게임 체인저'"라면서 "대한민국은 이제 추격 국가가 아니라, 첨단 과학 기술로 세계의 미래를 설계하는 선도 국가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AI 투자 100조 원 시대를 열겠다”며, “정부가 민간 투자에 마중물 역할을 하고, 관련 예산을 선진국을 넘어서는 수준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또 “국민 모두가 선진국 수준의 AI를 무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모두의 AI’ 프로젝트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 역시 AI 3대 강국 도약 비전을 제시하며 ‘인재 양성’에 초점을 맞췄다.
김 후보는 지난달 18일 여의도 선거사무소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AI 청년 인재 20만 명을 양성하고, AI 유니콘 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100조 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AI 디지털 교과서 도입, AI 정책보좌관 신설 등의 계획도 내놨다.
익명을 요청한 재계 관계자는 “AI 산업 경쟁력이 국가 미래를 좌우할 중대 변수인 만큼, 누구든 정권을 잡는다면 과감한 투자와 함께 우수 인재 확보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두 후보 모두 AI 공약에선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으나, 정책 기조에서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 후보가 ‘노동자 중심’ 공약을 전면에 내세운 반면, 김 후보는 ‘기업 친화’ 전략으로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이 후보는 ‘근로자의 날’이었던 지난 1일, 페이스북을 통해 사회적 합의를 통한 정년 65세 연장 법제화와 ‘노란봉투법’(노동조합법 2·3조 개정안) 재추진 방침을 밝혔다.
‘노란봉투법’은 파업 노동자에 대한 기업의 손해배상 청구를 제한하고, 하도급 노동자에 대한 원청 책임을 강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해당 법안은 노동계의 숙원 과제지만 윤석열 전 대통령의 두 차례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로 입법이 무산된 바 있다.
반면 김 후보는 ‘기업하기 좋은 나라’를 핵심 비전으로 제시하며, 친기업 정책을 전면에 내세웠다.
대표적으로 김 후보는 법인세 최고 세율을 현행 24%에서 21%로 낮추겠다는 공약을 제시했다. 현행 50%인 상속세 최고세율은 30%까지 인하하겠다고 밝혔다.
또 상속세 최고세율을 각각 21%와 30%로 인하하고 일자리 창출 기업에 각종 세금·부담금을 감면해주는 등 우대 방안도 제시했다.
【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