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역 인근에서 시민들이 우산을 쓴 채 이동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729/art_17527968483027_e1bde4.jpg)
【 청년일보 】 지난 16일부터 쏟아진 집중호우로 전국에서 인명·재산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18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가 오전 6시 기준으로 발표한 호우 대처상황 보고와 소방청에 따르면 이번 폭우로 4명이 숨지고 1명이 실종됐다.
광주 북구 신안교 인근에서는 전날 밤 강물에 떠내려간 실종자를 찾기 위한 수색이 진행 중이다. 충남 서산과 당진에서는 침수된 차량과 주택 등에서 60~80대 남성 3명이 숨진 채 발견됐다. 경기 오산시에서는 옹벽 붕괴로 차량이 매몰돼 40대 운전자가 사망했다.
전국 13개 시도, 52개 시·군·구에서 3천413세대 5천192명이 일시 대피했다. 공공시설 침수와 붕괴 등 피해도 잇따랐다. 도로 침수 328건, 토사 유실 62건, 제방 유실 30건 등이 집계됐고 사유시설 피해도 276건에 달했다.
교통편도 마비됐다. 경부선 등 7개 철도 구간 운행이 중단됐고, 묵호~울릉 등 2개 항로 여객선 운항도 멈췄다. 둔치주자창 119개소, 야영장·캠핑장 13개소, 하상도로 54개소, 세월교 393개소의 출입도 통제 중이다.
이 외에도 전국에서 들어온 정전 신고는 45건으로, 이 중 36건은 복구됐으나 9건은 복구 작업이 진행 중이다.
16일 0시부터 이날 오전 5시까지 누적 강수량을 보면 나주 445㎜, 광주 442㎜, 홍성 437.6㎜, 서산 427.1㎜, 담양 397.0㎜, 세종 390.0㎜, 창녕 376.0㎜ 등이다.
중대본은 전날 오후 집중호우가 계속되며 피해가 불어나자 풍수해 위기 경보 최상위인 '심각' 단계를 발령했다.
또 중대본 3단계를 가동해 부처와 유관기관의 비상대응태세를 최고 수준으로 상향 조정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부터 19일까지 이틀 동안 광주·전남과 부산·울산·경남은 100∼200㎜(많은 곳 300㎜ 이상), 충청권과 전북, 대구·경북은 50∼150㎜(많은 곳 200㎜ 이상)의 비가 예보됐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