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들어 주요 시중은행에서 가계대출 증가 속도가 다시 빨라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832/art_17547899574676_45e7d3.jpg)
【 청년일보 】 8월 들어 주요 시중은행에서 가계대출 증가 속도가 다시 빨라지고 있다.
불과 한 주 만에 가계대출이 약 2조원 가까이 뛰자 가계대출 총량 관리에 비상이 걸린 각 은행은 긴장 속에 속속 추가 대출 규제 방안을 내놓고 있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지난 7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60조8천845억원으로, 7월 말(758조9천734억원)보다 1조9천111억원 불었다.
하루 평균 약 2천730억원꼴로, '6·27 가계대출 관리 방안' 발표와 함께 가계대출 증가세가 한풀 꺾인 7월(1천335억원)의 두 배를 넘을 뿐 아니라 6월(2천251억원)보다도 479억원 많다.
만약 이 속도가 월말까지 유지될 경우, 이달 전체 증가액은 역대 최대였던 작년 8월(+9조6천259억원) 이후 가장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가계대출 종류별로는 주택담보대출(전세자금 대출 포함) 잔액이 604조5천498억원으로, 6월 말(603억9천702억원)과 비교해 한 주 사이 5천796억원 늘었다. 7월(1천466억원)의 절반 수준인 일평균 약 725억원씩 증가했다.
신용대출이 103조9천687억원에서 105조380억원으로 1조693억원이나 불어 전체 가계대출 증가세를 주도했다.
8월 초 가계대출 증가 속도가 6·7월보다 빠른 원인으로는 공모주 등 주식 투자, 6·27 이전 주택 계약 관련 대출의 실행, 정부의 추가 가계대출 규제를 예상한 대출 선(先)수요 등이 거론된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이달 초 바이오·정밀화학 등 업종의 기업들이 상장을 앞두고 공모주 청약을 진행했다"며 "일반 투자자 가운데 신용대출 등으로 청약 증거금을 마련한 경우가 꽤 있을 것으로 짐작된다"고 말했다. 실제로 이달 들어 지투지바이오, 삼양컴텍, 에스엔시스 등의 공모주 청약에 각 3조∼13조원의 증거금이 몰렸다.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는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지난 5∼6월 급증한 주택 거래와 관련해 2개월 안팎의 시차를 두고 이달 들어 속속 잔금 대출이 이뤄지고 있다"며 "6·27 규제 발표 이전 거래인만큼 막을 수 없는 대출이고, 일반적으로 잔금일을 월말로 잡는 경우가 많아 이달 하순으로 갈수록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도 커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아울러 6·27 규제의 후속 조치로서 금융당국의 추가 대출 제한 방안이 발표될 것이라는 관측이 늘어나면서 "신용대출 등이라도 일단 먼저 받아놓고 보자"는 심리가 대출 증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도 은행권에서 나온다.
여러 이유로 가계대출 증가세가 뚜렷하게 꺾이지 않자, 각 은행은 약 50% 삭감된 하반기 총량 목표 안에서 가계대출을 관리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최근 은행권이 대출모집인(대출상담사)을 통한 주택담보대출을 일제히 막은 것도 같은 이유다. 하나은행·NH농협은행·신한은행의 대출모집인은 현재 9월 실행 예정인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 신청을 받지 않고 있다. IBK기업은행은 실행 시점에 상관없이 아예 대출모집인의 주택담보·전세자금대출 추가 접수를 전면 중단한 상태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일부 대출모집인이 추가 규제 가능성 등을 거론하면서 미리 대출받으라고 금융소비자들을 부추긴다는 지적이 은행 안팎에서 나왔다"며 "지금 대출모집인을 통한 대출 신청이 급증하면 수개월 뒤 실제 대출 실행으로 이어지는 만큼 제한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 청년일보=성기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