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939/art_17588401556439_ca86eb.jpg)
【 청년일보 】 올해 7월 말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이 0.57%로 7년 만에 최고치로 상승했다. 기업대출과 가계대출 연체율 모두 상승한 영향이다.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5년 7월 말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 현황(잠정)'에 따르면 국내은행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기준)은 0.57%로 집계됐다. 이는 2018년 7월 0.56% 이후 최고치다. 전월 말(0.52%)보다 0.05%포인트 상승했고, 전년 동월 말(0.47%) 대비 0.05%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7월 중 신규 연체 발생액은 2조8천억원으로 전월과 유사하지만, 연체채권 정리 규모는 1조6천억원으로 4조1천억원 감소했다.
신규 연체율은 0.11%로 전월 말과 동일했다.
부문별로 보면 기업 대출 연체율은 0.67%로 전월 말보다 0.07%p 상승했다. 대기업대출 연체율은 0.14%로 전월 말과 같았으나,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이 0.08%p 오른 0.82%를 기록했다.
가계대출 연체율도 0.43%로 0.02%p 상승했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29%로 전월 말보다 0.01%p 하락했으나, 이를 제외한 신용대출 등 가계대출이 0.86%로 0.08%p 올랐다.
금감원 관계자는 "향후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유지하도록 유도할 것"이라며 "최근 연체율 상승 폭이 크고 취약부문에 대한 대출비중이 큰 은행을 중심으로 부실채권 상매각, 충당금 확충 등을 통해 자산건전성 관리를 강화하도록 지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청년일보=김두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