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올해 3분기까지 국내 출생아 수가 19만명을 넘어서며 18년 만에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기록했다. 혼인 건수 또한 9월 기준 역대 최고 증가율을 보이며 출생 지표 개선 흐름을 뒷받침했다.
다만, 사망자 규모가 여전히 더 크면서 인구 자연 감소는 24분기째 지속되고 있다.
26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2025년 9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출생아 수는 2만2천369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8.6%(1천780명) 증가했다. 2020년 9월 이후 가장 많은 수준이다. 출생아 수 증가세는 지난해 7월 이후 15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3분기(7~9월) 출생아 수는 6만5천39명으로 전년 동기보다 6.1% 증가했다. 1~9월 누계는 19만1천40명으로, 지난해보다 1만2천488명 늘어난 수치다. 이는 2007년 이후 18년 만에 가장 큰 증가폭이다. 이 같은 흐름을 감안하면 올해 연간 출생아 수가 지난해 23만8천317명을 넘어설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합계출산율도 소폭 개선됐다. 9월 합계출산율은 0.85명으로 전년보다 0.06명 늘었고, 3분기 합계출산율 역시 0.81명으로 0.04명 상승했다. 특히 출산 증가세는 30대가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25~29세 출산율은 감소한 반면, 30~34세와 35~39세는 각각 2.4명, 5.3명 증가했다.
출산의 선행지표인 혼인도 빠르게 늘고 있다. 9월 혼인 건수는 1만8천462건으로 전년 대비 20.1% 증가해 9월 기준 증가율·증가폭 모두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3분기 전체 혼인 건수는 5만8천305건으로 12.8% 증가했다. 다만 올해 추석이 10월에 위치하면서 신고일 증가 효과가 일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1~9월 누적 혼인 건수는 17만6,178건으로 전년 대비 8.9% 늘었다. 3분기 이혼 건수는 2만2천981건으로 0.5% 감소했다.
출생 증가에도 불구하고 사망자 수가 더 많은 추세는 지속됐다. 3분기 사망자는 8만5천51명으로 전년 대비 5.0% 줄었지만 자연증가율은 -2만11명을 기록하며 인구 감소 흐름이 24분기째 이어졌다. 자연 감소 폭은 1·2분기보다 축소됐지만 여전히 감소세에서 벗어나지 못한 상황이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