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살충제 계란, 생리대 발암물질 등 국민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식품·의약품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는 데 대해, 정부가 불안감을 키웠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살충제 계란 사태는 8월14일 경기도 남양주시 산란계 농가에서 피프로닐 성분이 검출되면서 뜨거운 감자가 됐다.
특히,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믿고 먹어도 된다며 '친환경 인증마크'를 준 농가에서조차 기준치 이상의 살충제 성분이 검출됐다.
이와 관련해 업계 한 관계자는 "첫 검출 4일 전 류영진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유럽에서 살충제 계란 논란에도 '국내에서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니 안심하라'고 단언했다. 하지만 결과는 전혀 다르지 않았나"라고 비판했다.
그 이후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한 생리대를 사용한 후 생식기능 관련 부작용이 발생했다는 지적이 잇따라 제기됐다.
또 다시 식약처의 업무 관련 전문성이 논란이 된 것. 생리대 제조업체는 식약처에 품목신고 시 안전성과 유효성 검사 관련 자료를 제출해야 하는데, 문제가 된 생리대의 경우 이 과정이 생략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업계 또 다른 관계자는 "식품·의약품 안전의 일선에 있는 식약처 때문에, 국민은 오히려 어느 장단에 맞춰야 하는지 혼란만 가중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식약처가 식품과 의약품 등 국민 생활과 밀접한 분야의 컨트롤타워로서 역할을 해야 하는데, 오히려 불신을 초래하는 모양"이라며 "국민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 건 식약처 때문이라고 해도 과언은 아닐 터"라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