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추진했던 초등학교 교과서 한자 병기 정책이 사실상 폐기됐다.
9일 교육부는 지난해 말 현장 적합성 검토 등을 통해 국민 의견을 수렴해 초등학교 교과서에 한자를 표기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해 더이상 추진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지난해 12월 27일 '교과용도서 개발을 위한 편수자료'(편수지침)를 누리집에 올리고 교과서에 실을 수 있는 교육용 기초한자로 중·고등용 1800자만 소개했다.
이전 정부에서 교육부는 2014년 교과서와 수업·평가방식, 수업내용 등의 기준이 되는 교육과정을 개정하면서 2016년 한자 300자를 선정해 2019년 초등 5~6학년 교육 교과서부터 주요 학습용어를 한자로도 함께 표기하겠다고 발표했다.
교육부 발표 직후 전국 교육대학 교수들과 사교육 걱정없는 세상 등 교육단체는 초등학생 학습 부담이 증가한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반면 한자병기를 찬성하는 쪽은 우리 말에 한자가 많이 쓰이고 있는 만큼 한자병기로 아이들의 사고력·언어능력을 키울 수 있다고 주장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한자 단체의 반발이 예상되고 정부의 갈등관리에 부담이 되는 만큼 백지화 방침이 쟁점화되지 않는 것이 좋다고 판단해 적극 공표하지 않기로 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