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까지 우리나라 모바일 트래픽(서버에 전송되는 데이터 총량)이 지금보다 10배 이상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국내 이동통신 가입자, 트래픽 추세, 이용자 특성별 트래픽 현황, 향후 6년간 이동통신 가입자와 트래픽 전망을 담은 '국내 모바일 트래픽 현황 및 전망치'를 17일 발표했다.
지난해 3분기 기준 우리나라 인구 대비 이동통신 보급률은 120%를 넘었다. 이동통신 대비 4세대 이동통신(4G) 가입률은 78%정도다.
이동통신 데이터 트래픽은 305페타바이크(PB)다. 1PB는 1024테라파이트(TB)다. 그 중 4G는 99.6%로, 대부분을 차지한다.
연구진은 이 같은 추세를 바탕으로 앞으로 6년간 국내 이동통신 트래픽이 10배가량 늘 것으로 보고 있다.
2023년 말에는 3.2 엑사바이트(EB)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1 EB는 104만8천576 TB다.
연구진은 기술별 모바일 트래픽 특성에 따라 적합한 예측모형을 설정하고, 커버리지·전송속도·동영상 이용시간 등에 근거한 합리적 가정을 통해 추론했다고 설명했다.
내년 상용화를 목표로 하는 5세대 이동통신(5G)의 경우 2023년께 2.8 엑사바이트까지 트래픽이 증가할 것으로 연구진은 추정했다.
Full-HD, 4K·8K 고화질 동영상 비중이 높아질 것이란 판단에서다.
박승근 ETRI 전파자원연구그룹 프로젝트 리더는 "엑사바이트 시대로의 진입을 준비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며 "매년 트래픽 전망보고서를 정례화하면 이동통신 관련 중장기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