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 고용절벽이 좀처럼 해소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1년 전 문재인 정부가 출범하면서 일자리 창출을 국정운영의 1순위 과제로 설정하고 각종 정책을 총동원했지만 고용절벽이 개선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는 것이다.
이를 반영하듯 청년층 23%가 실업으로 고통받고 있다. 여기에 실업자수가 올 1월 이후 4개월째 100만 명대를 넘어서며 체감실업률이 급상승 중이다.
16일 통계청이 발표한 '4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686만8000명으로 1년 전보다 12만3000명 증가하는데 그쳤다.
취업자수 증가 규모가 올 1월 33만000명에서 2월에 10만4000명으로 뚝 떨어진 후 4개월 연속 10만명대 초반에 머물렀다.
취업자 증가 폭이 3개월 연속 10만 명대에 머문 것은 2008~2010년 글로벌 금융위기 시절 이후 8년여만에 처음으로 현재의 고용시장이 '재난 수준'에 이른 것이다.
고용동향에 따르면 실업자 수는 116만1000명으로 올 1월 102만명 이후 4개월 연속 100만명선을 넘어선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전체 실업률은 4.1%로 1년 전보다 0.1%p 하락했다.
특히 15~29세 청년층 실업률은 10.7%로 0.5%p 떨어져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실업률 산출의 기준인 경제활동인구가 늘어나면서 지표상 실업률은 소폭 하락했지만 절대 수준이 여전히 높고 특히 체감실업률은 이보다 2~3배 높다. 전체 체감실업률은 지난달 11.5%로 1년 전보다 0.3%p 높아졌고, 청년층 체감실업률은 23.4%로 0.2%p 내렸다.
실업자수가 증가하고 있는 것은 제조업과 유통관련 산업의 고용이 위축되면서 고용절벽 현상을 심화시키고 있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제조업 취업자의 경우 지난해 6월 이후 증가세를 이어왔으나 최근 조선ㆍ자동차 등 주력산업 구조조정이 본격화하며 지난달 6만8000명 감소세로 전환됐다. 최저임금 인상의 영향을 많이 받는 도소매ㆍ음식숙박업 취업자는 지난달 8만8000명 감소해 지난해 12월 이후 5개월 연속 감소세를 지속했다.
기회재정부는 이날 발표된 고용동향에 대해 "서비스업의 고용 개선에도 전년도 4월 큰폭 증가에 따른 기저효과와 제조업 고용부진 등으로 취업자 증가폭이 3월과 유사했다"고 밝혔다.
특히 청년층 실업과 관련 "15~29세 청년층 실업률은 0.5%p 하락한 10.7%였다. 실업률이 하락한 이유는 작년에는 4월이었던 사회복지 직렬 공무원 시험 시기가 올해는 5월로 늦춰지면서 시차에 따른 요인도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