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ㆍ출산 포기한 여성 근로자들...고용 불안ㆍ사교육비 부담 영향

등록 2018.07.04 11:36:30 수정 2018.07.04 11:36:30
우성호 기자 ush320@youthdaily.co.kr

20~40대 여성 근로자가 이상적이라고 생각하는 평균 자녀수는 2명이다. 하지만 현실적 여건을 고려했을 때 적절한 자녀수는 1.2명으로 나타났다.

4일 한국경제연구원이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여성 근로자 216명을 대상으로 '2018년 저출산 정책에 대한 2040 여성 근로자 인식'을 조사한 결과 여성근로자의 이상적 자녀수는 평균 2.0명으로 나타났다. 

<제공=한국경제연구원>

이상적 자녀수를 '2명'(63.2%)으로 응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고, 이어 △3명(16.0%) △1명(13.6%) 순으로 응답했다. '0명은 3.9%에 불과했다.

하지만 현실적 여건을 고려한 자녀수 평균은 1.2명으로, '1명'(47.9%), '2명'(33.9%) 순으로 응답했으며 낳지 않겠다(0명)는 응답도 15.5%였다. 

낳고 싶은 자녀수보다 현실적 여건을 고려한 자녀수가 적은 것은 경제적 이유가 큰 것으로 풀이된다고 한경연은 설명했다.

직장 여성들은 △소득 및 고용 불안(30.6%) △사교육비 부담(22.3%) 등을 저출산 원인으로 꼽았다.

<제공=한국경제연구원>

미혼 직장 여성인 중 향후 결혼계획에 대해 '앞으로 결혼할 것'이라는 응답은 39.4%에 그쳤다. 반면 '결혼하지 않을 것'(26.3%)이나 '모르겠다'(34.3%)는 응답은 60.6%에 달했다. 

결혼계획이 없거나 잘 모르겠는 이유에 대해 '결혼이 필수가 아니라고 생각해서'(46.3%)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경제적 여유가 없어서(20.6%) △일‧생활 균형이 어려운 사회‧근로환경 때문(11.4%) 순으로 답했다.

한편 자녀가 있는 직장여성 중 출산휴가 외 육아휴직을 사용한 비율은 35.8%이고, 육아휴직을 사용한 사람들의 평균 휴직기간은 8.9개월로 나타났다. 

기업규모별로 보면 300인 이상 기업에서 근무하는 여성들의 경우 50.0%가 육아휴직을 사용한 반면 50~299명 기업에서는 38.5%, 50인 미만 기업에서는 28.9%의 여성만이 육아휴직을 사용했다고 응답했다.

육아휴직 사용 기간도 300인 이상 기업의 직장인 여성은 평균 11.8개월을 사용한데 비해 50~299인 기업은 10.2개월, 50인 미만 기업에서는 5.8개월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 양육의 경우 부모님께 도움을 받는 경우(40.6%)가 가장 많았고 △어린이집 등 보육시설 이용(23.6%) △본인 스스로 양육(21.2%)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보면 자녀가 어릴수록 부모님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20대 여성근로자의 경우 부모님 도움을 받는 응답자가 절반이 넘었고(55.6%), 30대는 42.7%, 40대는 37.1%로 감소했다.

<제공=한국경제연구원>

저출산 극복을 위해서는 일‧생활의 균형과 조직 문화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필요한 정부 저출산 정책을 묻는 질문에 '일‧가정 양립 사각지대 해소'(80.0%)를 1순위로 꼽았고, 기업이 노력해야 할 사항에 대해서는 '출산‧육아휴직 등을 자유롭게 쓸 수 있도록 조직 문화 개선'(42.3%), '유연근무제, 임산부 단축근무제 등 시행'(25.2%) 순으로 응답했다.

추광호 한국경제연구원 실장은 "여성 근로자들이 저출산의 원인으로 소득과 고용 불안을 가장 많이 응답한 것을 볼 때 정부는 기업이 더 많은 여성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경영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며 "기업들도 저출산 해소와 여성인재 활용을 위해서는 출산‧육아휴직을 자유롭게 쓸 수 있는 조직문화 형성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청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선유로49길 23, 415호 (양평동4가, 아이에스비즈타워2차) 대표전화 : 02-2068-8800 l 팩스 : 02-2068-8778 l 법인명 : (주)팩트미디어(청년일보) l 제호 : 청년일보 l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6 l 등록일 : 2014-06-24 l 발행일 : 2014-06-24 | 편집국장 : 성기환 | 고문 : 고준호ㆍ오훈택ㆍ고봉중 | 편집·발행인 : 김양규 청년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9 청년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youth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