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6일 부산항 감만부두에 수출입 화물이 가득 쌓여 있다. 이번 주(2월 27일~3월 3일)에는 1월 산업생산 지수가 발표돼 경기 둔화가 이어질지 관심을 끌고 있다.[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30209/art_16775537868286_59f9b1.jpg)
【 청년일보 】주력 수출 품목인 반도체와 화학제품 등의 부진으로 1월 수출물량과 금액 모두 4개월째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물량과 금액 역시 2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한국은행이 28일 발표한 2023년 1월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달러기준·잠정치) 통계에 따르면 지난 1월 수출물량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13.0%, 금액지수는 18.3% 각각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수출물량지수와 금액지수 하락폭은 각각 2020년 5월의 -14.8%와 -25.0% 이후 2년 8개월 만에 가장 컸다.
운송장비 등이 증가했지만 반도체가 포함된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 화학제품 등이 감소해 수출물량과 금액지수 모두 하락폭이 컸다.
수출물량지수와 수출금액지수는 지난해 10월부터 4개월째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다.
지난 1월 수입물량지수와 수입금액지수는 운송장비 등이 증가했지만 제1차 금속제품, 광산품 등이 감소해 각각 1.2%와 2.1% 하락했다.
지난해 12월 하락세로 전환한 수입물량지수와 금액지수는 1월까지 2개월째 감소세를 나타냈다.
수출입금액지수는 해당 시점 달러 기준 수출입금액을 기준시점(2015년) 수출입금액으로 나눈 지표이고, 수출입물량지수는 이렇게 산출된 수출입금액지수를 수출입물가지수로 나눈 것이다.
지난 1월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반도체 등 주요 품목 가격 약세로 수출가격(-6.1%)이 수입가격(-0.9%)보다 더 크게 내려 전년 동월 대비 5.2% 하락했다. 22개월째 하락세다.
다만 전월 대비로는 1.6% 상승했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수출상품 한 단위 가격과 수입 상품 한 단위 가격의 비율로, 우리나라가 한 단위 수출로 얼마나 많은 양의 상품을 수입할 수 있는지 가늠할 수 있는 지표다.
【 청년일보=전화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