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늘고, 영업익은 줄고"…지난해 韓 대기업, 원자재 인상에 '호황형 적자'

등록 2023.03.08 09:14:39 수정 2023.03.08 09:15:01
조성현 기자 j7001q0821@youthdaily.co.kr

전경련, 매출 100대 기업 분석…"원자재 인상 등 비용 증가 때문"
제조업 영업이익 감소가 가장 커…운수업 20% 넘는 영업이익률

 

【 청년일보 】 지난해 우리나라 대기업들이 매출은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감소하는 이른바 '호황형 적자'의 양태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국내 매출 100대 기업(금융·공기업 제외) 중 지난해 실적이 공시된 80곳의 경영실적을 분석한 결과, 이들 기업의 총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2천186조9천14억원, 164조6천786억원으로 집계됐다고 8일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매출은 20.9%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2.5% 감소한 수치로, 이들 기업의 평균 영업이익률도 전년 대비 1.8%포인트 감소한 7.5%를 기록했다.


전경련은 매출 증가에도 영업이익이 감소한 이유로 비용 증가를 꼽았다.


경기 반등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에너지·원자재가 상승, 금리 인상으로 인한 금융비용 증가가 국내 제조업 기업들의 생산비용을 크게 늘렸다는 분석이다.


또 이들 기업 중 두자릿수(10% 이상) 영업이익률을 기록한 기업은 총 11곳이었는데 전년(23곳)보다 크게 감소했다.


영업이익률 1위를 차지한 곳은 국내 최대 컨테이너 선사인 HMM(53.5%)으로 50%를 넘겼다. 이어 LG(27.0%), KT&G(21.6%), 대한항공(20.1%), GS(17.4%) 등의 순이었다.


지난해 매출 증가율이 가장 컸던 기업은 HD현대(구 현대중공업지주·114.6%)였고, E1은 1년 사이 영업이익이 56억원에서 2천787억원으로 급증하며 최대 영업이익 증가율(4천899.4%)을 기록했다.


반면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지난해 매출이 전년 대비 15.6% 줄며 가장 큰 매출 감소율을 나타냈다. LCD 패널가격 하락의 타격을 입은 LG디스플레이는 영업이익이 193.5%로 가장 크게 줄었다.


전경련은 업종별 분석 결과 전체 6개 업종에서 모두 전년 대비 매출이 증가했지만 제조업과 출판·영상·방송통신·정보서비스업, 건설업 등 3개 업종은 영업이익과 영업이익률이 모두 줄었다고 전했다.


특히 제조업은 13%의 큰 감소율을 보인 데 이어 영업이익률도 2.9%포인트(10.4%→7.5%) 떨어졌다. 조사대상 80개 기업 중 지난해 적자를 기록한 5개 기업(LG디스플레이·롯데케미칼·한국조선해양·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 모두 제조업이다.


반면 운수업은 가장 높은 영업이익률(20.9%)을 기록했다. 영업이익률도 2.5%포인트 뛰며 6개 업종 중 가장 많이 상승했다.


HMM으로 대표되는 해운업과 대한항공 등 항공업의 호실적이 전체 실적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유정주 전경련 기업정책팀장은 "지난해 국내 대기업들이 매출은 늘고 영업이익과 영업이익률은 떨어지는 양상을 보였다"며 "물가상승과 금리인상 등 불확실한 경영환경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저작권자 © 청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선유로49길 23, 415호 (양평동4가, 아이에스비즈타워2차) 대표전화 : 02-2068-8800 l 팩스 : 02-2068-8778 l 법인명 : (주)팩트미디어(청년일보) l 제호 : 청년일보 l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6 l 등록일 : 2014-06-24 l 발행일 : 2014-06-24 | 편집국장 : 성기환 | 고문 : 고준호ㆍ오훈택ㆍ고봉중 | 편집·발행인 : 김양규 청년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9 청년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youth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