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위믹스 팀이 지난 15일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DAXA)의 입장문에 대해 강도 높은 비판을 제기하며, 거래지원 종료 기준의 투명한 공개를 다시 한번 촉구했다. [사진=위믹스 홈페이지 캡처]](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520/art_17473901524241_37b88b.png)
【 청년일보 】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자산 '위믹스(WEMIX)'를 운영하고 있는 위메이드의 위믹스 팀이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DAXA)의 최근 입장문에 대해 강도 높은 비판을 제기하며, 거래지원 종료 기준의 투명한 공개를 다시 한번 촉구했다.
위믹스 팀은 16일 공식 성명을 통해 "DAXA가 지난 15일 발표한 입장문은 위믹스 거래지원 종료 결정과 관련해 책임을 회피하는 모순된 설명"이라며 "해당 입장문은 사실상 위믹스를 겨냥한 조치이며, 소급적용된 기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앞서 DAXA는 입장문에서 "거래소들의 거래지원 종료 결정은 DAXA가 아닌 각 회원사의 판단에 따른 것이며, 공동 대응이 아니다"라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위믹스 측은 이러한 해명은 실질과 다른 내용이라고 주장했다.
위믹스 팀은 ▲DAXA가 지난 15일 공식 웹사이트에 게시한 '거래지원 심사 공통 가이드라인' ▲거래소의 정책 문서 ▲거래소의 공지 표현 등을 근거로 DAXA가 실제로 거래지원 종료에 있어 공동의 판단과 개입을 해왔다고 지적했다.
특히 DAXA의 가이드라인에는 '위기상황에 해당하여 공동대응을 통해 거래지원을 종료했던 경우'라는 표현이 명시되어 있으며, 이는 DAXA 스스로 과거 공동대응에 기반해 특정 자산의 거래지원을 종료한 전례를 인정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또한 일부 거래소의 정책문서에는 DAXA의 공동대응 절차 안에 거래지원 종료 단계가 포함되어 있었으며, 실제 공지 문구에서도 'DAXA는'과 'DAXA 회원사들은'이 상황에 따라 혼용되어 사용된 점을 지적했다.
관련해 위믹스 팀은 "명확한 주체 인식 없이 규정을 변경하고 적용 시기를 명시하지 않는 것은 책임 회피"라고 비판했다.
아울러 위믹스 팀은 이번 거래지원 종료 결정이 "사실상 국내 원화 거래소들의 담합에 의한 부당한 공동행위"라고 주장하며, 공정거래법 위반 가능성을 제기했다.
특히 DAXA와 그 회원사들이 독과점 지위를 이용해 불투명한 기준으로 시장 경쟁을 저해하고 있다며, 이에 대한 법적 대응으로 가처분 신청서를 법원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위믹스 팀은 "DAXA는 정보 불균형의 해소를 강조하면서도, 프로젝트나 투자자들이 직면한 불균형에는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며 "각 거래소는 위믹스 거래지원 종료 결정 과정과 근거 자료를 공개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강조했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