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동대문구 밥퍼운동본부 앞마당에서 다일공동체 주최로 열린 어버이날 효도잔치에서 어르신들이 점심식사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521/art_17477848637105_0a3731.jpg)
【 청년일보 】 우리나라 40세 이상 성인 10명 중 4명은 노화나 질병 등으로 돌봄이 필요할 때 요양보호사에 의존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반면, 자녀에게 기대를 거는 비율은 4%에 그쳤다.
재단법인 돌봄과미래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40세 이상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실시한 '지역사회 돌봄 인식과 수요 조사' 결과, 응답자의 39%가 '요양보호사가 돌볼 것'이라고 답했다. '배우자가 돌볼 것'이라는 응답은 35%, '스스로 돌봐야 한다'는 응답은 21%였다.
다만, '자녀가 돌볼 것'이라는 응답은 4%에 불과해 전통적 가족 돌봄 구조가 급격히 약화된 양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특히 성별 간 배우자 돌봄 기대에는 큰 격차가 있었다. 남성의 49%는 '아내가 돌볼 것'이라 답한 반면, 여성은 '남편이 돌볼 것'이라는 응답이 22%에 그쳐 절반에도 못 미쳤다.
돌봄의 사각지대에 대한 우려도 컸다. 전체 응답자의 58%가 '고독사 가능성이 있다'고 응답했고, 이 중 10%는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느끼고 있었다. 가족 외에 긴급 상황 시 도움을 요청할 사람이 없다고 답한 비율도 40%에 달했다.
노년기 돌봄을 원하는 장소로는 '현재 거주 중인 집'(47%)이나 '살던 지역 내 돌봄 적합 주택'(32%) 등 지역사회 내 거주지 중심의 응답 비율이 높았다. 반면, 노인복지주택과 요양원을 선호하는 비율은 각각 7%에 그쳤다.
임종 장소로는 자택을 원하는 응답자가 48%로 가장 많았으며, 종합병원(31%), 요양병원(12%)이 뒤를 이었다. 하지만 실제 임종 장소로는 종합병원(29%)과 요양병원(25%)을 가장 많이 예상해 현실과 이상 간 괴리가 드러났다.
요양시설에 대한 평가는 엇갈렸다. 전체 응답자의 58%는 '긍정적'이라고 응답했으며, '친구를 사귈 수 있다'(74%)는 기대도 있었지만, '학대가 빈번하다'(53%)는 부정적 인식도 적지 않았다.
가장 필요한 돌봄 서비스(복수응답)로는 건강관리·의료(61%)가, 최우선적으로 갖춰야 할 서비스로는 가정방문 돌봄(71%)이 각각 1순위로 꼽혔다. 가장 시급한 노인돌봄 정책 과제로는 '자부담 경감'(42%)이 가장 많이 언급됐다.
노인돌봄 서비스의 책임 주체로는 국가(85%)를 압도적으로 지지했으며, 돌봄 정책의 핵심 가치로는 공공성(51%)이 가장 중요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세금 지출 확대를 통한 돌봄 강화에도 85%가 찬성했다.
병원 접근성에 대한 불편도 도출됐다. 전체의 41%는 거주지 내 병원 이용에 불편을 겪고 있다고 밝혔으며, 거주지 개선이 필요한 시설로도 병원(36%)이 1순위로 꼽혔다.
한편, 연명의료에 대해선 93%가 '원하지 않는다'고 밝혔으며, 임종 결정은 '스스로 하겠다'(44%)와 '가족과 상의하겠다'(44%)는 응답이 동률을 이뤘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