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부권 광역급행철도 노선(예타 검토안). [사진=국토교통부]](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728/art_17521285653422_0cfa4a.jpg)
【 청년일보 】 수도권 서북부와 동남권의 숙원 사업으로 꼽히던 서부권 광역급행철도와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건설 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
이와 함께 구리-성남 지하 고속도로 건설사업도 예비타당성 조사를 넘어서며 주요 광역교통 인프라 확충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는 10일 기획재정부 주관으로 열린 재정사업평가위원회에서 3개 철도 및 도로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서부권 광역급행철도는 김포 장기역에서 부천종합운동장역까지 21km에 달하는 신설 노선으로 건설된다. 해당 노선은 장기-검단-계양-대장-부천종합운동장을 연결하며, 부천종합운동장역부터 서울 청량리역까지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B노선을 공유해 총 49km를 직결 운행할 예정이다.
총사업비는 예비타당성 조사 기준 2조6천710억원으로 책정됐다. 이 사업은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21-2030)에 대도시권 교통난 해소 사업으로 반영돼 2023년 6월부터 예비타당성 조사를 진행해 왔다.
광역급행철도가 개통되면 인천, 김포 등 수도권 서북부 지역에서 서울 청량리까지 환승 없이 약 20~30분대에 도달 가능해져, 현재 최대 80분이 소요되는 이동 시간이 획기적으로 단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김포골드라인 등 기존 철도 및 도로의 혼잡도 완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국토부는 전망한다.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노선(예타 검토안). [사진=국토교통부]](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728/art_17521286423557_541c14.jpg)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건설사업은 부산 노포역에서 KTX 울산역까지 총 연장 47.6km의 신설 노선을 구축하는 사업으로 부산, 경남 양산, 울산 등 동남권을 하나의 생활권으로 연결하는 핵심 인프라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총사업비는 예비타당성 조사 기준 2조5천475억원이며 광역철도 완공 시 부산에서 울산까지 1시간대 생활권으로 연결이 가능해진다.
부산도시철도를 비롯해 현재 건설 중이거나 추진 중인 양산선, 정관선, 울산도시철도 등 인근 철도망과의 연계를 통해 지역 주민들의 교통 편의가 크게 증진될 것으로 국토부는 예상한다.
![구리∼성남 지하고속도로 노선. [사진=국토교통부]](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728/art_17521286965525_6402ea.jpg)
구리-성남 지하 고속도로는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의 경기 구리시 퇴계원 나들목(IC)에서 성남시 판교분기점(JCT)까지 31.5km 구간에 신설되는 왕복 4~6차로의 소형차 전용 도로다.
예비타당성 조사 기준 총사업비는 4조6천550억원으로, 2022년 제2차 고속도로 건설계획(2021-2025)에 중점사업으로 반영돼 2023년 말부터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쳤다.
착공은 설계 등 후속 절차가 완료되는 2029년경으로 예정되어 있다. 이 도로가 신설되면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의 상습적인 정체를 해소하고, 남양주 왕숙, 하남 교산 등 3기 신도시 개발로 인한 교통량 증가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국토부는 기대한다.
국토부는 "이번 예타 통과가 수도권 교통 여건 개선 및 지역 산업 발전에 기여해 국토의 균형발전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김재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