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화재 머릿돌. [사진=삼성화재]](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832/art_17546381628076_43e82f.jpg)
【 청년일보 】 차량 운행 중 침수 사고는 수도권에서 주로 야간 시간대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는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최근 3년 동안 삼성화재에 접수된 자동차 운행 중 침수 사고가 총 4천232건이었으며 이 가운데 72.5%는 수도권에서 발생했다고 8일 밝혔다.
지역별로는 경기·인천(44.1%)에서 가장 많이 발생했으며 이어 서울(28.4%), 경상권(12.9%), 충청권(7.4%), 전라권(5.5), 강원·제주(1.6%) 순이었다.
서울시에서는 서초구(31.2%), 강남구(30.3%) 순으로 침수 사고가 잦았고 경기도는 성남시(12.2%), 화성시(8.8%) 순으로 사고가 많았다.
시간대별로는 야간 운행 중에 발생한 침수 사고가 61.2%로 주간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오후 9시부터 자정까지 전체 침수 사고의 31.6%가 집중 발생했다. 야간 운행 중 침수 사고의 1건당 피해액은 평균 862만원으로 주간 대비 1.4배 수준이었다.
차량 중에서는 승용 세단이 전체 침수 사고의 72.5%를 차지해 침수에 특히 취약한 것으로 분석됐다.
교통안전문화연구소 연구 결과에 따르면 승용 세단의 엔진 흡입구 높이는 평균 29cm로 SUV(97cm)보다 상대적으로 낮아 침수에 취약한 것으로 보인다.
전제호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차량 운행 중 침수구간이 발생한 경우 무리하게 통과하지 말아야 한다”며 “침수 도로를 주행할 수밖에 없는 경우에는 저속으로 한 번에 통과해야 하며, 차량이 침수된 경우는 시동을 켜지 말고 바로 견인해 정비받는 것이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 청년일보=박상섭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