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변동장에 개미들 인버스·채권 ETF '집중 매수'

등록 2025.08.30 11:25:00 수정 2025.08.30 11:25:02
성기환 기자 angel1004@youthdaily.co.kr

 

【 청년일보 】 국내 증시가 성장세가 꺾여 소폭 등락을 거듭하자 개인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인버스 및 채권 상장지수펀드(ETF)에 쏠렸다.

 

인버스 ETF는 시장 등락을 거꾸로(인버스) 추종하는 상품이며, 채권 ETF도 증시 부진 때 수요가 오르는 특성이 있다.

 

30일 연합인포맥스에 따르면 최근 1주(8월 22∼28일) 사이 국내 개인 투자자가 가장 많이 매수한 ETF 10개 목록에서 'KODEX 200선물 인버스2X'가 순매수액 1천412억원으로 1위를 차지했다.

 

이 상품은 코스피 200 선물 지수가 떨어질 때 이를 증폭해 2배 수익을 내는 것이 골자다.

 

'KODEX 인버스' ETF도 순매수액 249억원으로 8위에 이름을 올렸다. 

 

채권 ETF 중에서는 'KODEX 머니마켓'이 411억원이 몰려 순매수 3위였다. 'TIGER CD1년 금리 액티브'(233억원)와 'KODEX 금리액티브'(228억원)는 각각 9위와 10위에 올랐다.

 

순매수 상위 10위 목록의 나머지 자리는 모두 미국 증시 ETF가 차지했고, 한국 주가 상승에 베팅하는 상품은 없었다.

 

국내 증시가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증시 활성화 정책에 대한 기대감 덕에 코스피 3천 지수를 넘기며 '우상향'을 계속했지만, 이번 달 1일 '검은 금요일'을 기점으로 상승세가 꺾인 영향이다.

 

7월 31일 미국 관세 협상이 타결됐지만 이후 추가 논의에 대한 우려가 증폭했고 시장 기대에 못 미쳤던 국내 세제 개편과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등 요인이 얽혀 '박스권' 상태에 빠진 것이다.

 

코스피는 종가 기준 7월 30일 3.254.47을 정점으로 내리막길을 걸어 지금까지 3,100∼3,200사이에서 오르고 내리기를 반복하고 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증시 대기 자금인 투자자예탁금은 최근 한 주(8월22∼28일) 사이 66조∼67조원대를 오가며 큰 변동이 없었다.

 

주가 기대감을 보여주는 지표인 '빚투'(빚내서 투자)도 정체 국면을 보였다.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한 주 사이 21조9천390억원에서 22조711억원으로 거의 같았다.

 

증권가에서는 다음 달 들어 정책적 불확실성이 일부 완화하며 증시가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NH투자증권의 나정환·정여경 연구원은 "한미 정상회담이 종료되고 관세 협상도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만큼 다시 국내 정책 기대감이 커질 수 있다. 특히 9월 정기 국회가 시작되고 정부가 공약한 경제 정책이 조금씩 계속 가시화하면서 모멘텀(반등 동력)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최근 한 주 사이 국내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산 미국 주식은 AI 서비스 기업 '팔란티어'와 AI 연산칩 제조사 '엔비디아'로, 순매수액이 각각 1억1천600만달러(1천612억원)와 1억1천300만달러(1천570억원)로 집계됐다.

 

유명 암호화폐 '이더리움'의 세계 최대 비축사인 '비트마인'은 순매수액 9천600만달러(1천334억원)로 3위를 차지했다.

 

디지털 자산 업계에 따르면 비트마인은 현재 이더리움 180만개를 모아 이 암호화폐의 전담 단체 '이더리움 재단'(23만개) 보유량의 7.8배에 달한다.

 

 

【 청년일보=성기환 기자 】




저작권자 © 청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선유로49길 23, 415호 (양평동4가, 아이에스비즈타워2차) 대표전화 : 02-2068-8800 l 팩스 : 02-2068-8778 l 법인명 : (주)팩트미디어(청년일보) l 제호 : 청년일보 l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6 l 등록일 : 2014-06-24 l 발행일 : 2014-06-24 | 편집국장 : 성기환 | 고문 : 고준호ㆍ오훈택ㆍ고봉중 | 편집·발행인 : 김양규 청년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9 청년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youth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