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환자 삶의 질 개선"…오스템임플란트, '융복합 자성 프리 조직 확장기' 개발 추진

등록 2025.09.03 09:07:50 수정 2025.09.03 09:15:28
조성현 기자 j7001q0821@youthdaily.co.kr

유방재건술 위한 핵심 제품…독자 기술 통해 안전성 향상 도모
서울아산병원과 공동으로 국책과제 수행…안전성·유효성 검증

 

【 청년일보 】 오스템임플란트가 유방암 환자들의 후속 치료와 삶의 질 개선을 위한 기술 개발에 도전한다.

 

오스템임플란트는 3일 유방재건술에 있어 핵심적 역할을 하는 의료기기인 '조직 확장기(expander)'의 기능과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향상하기 위한 국책과제 수행에 나섰다고 밝혔다.

 

유방암 치료의 주요 과정인 유방절제술은 암덩어리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이지만 환자가 신체적, 정서적인 후유증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다. 좌우 비대칭으로 인한 척추 측만증, 심리적 위축과 정체성 혼란 등이 대표적인 예다.

 

암 치료의 연장선상에서 이 같은 후유증을 극복하고 신체적 균형과 삶의 질을 되찾기 위해 꼭 필요한 시술이 유방재건술이다. 유방재건술은 통상 보형물을 사용해 원래와 같은 가슴 모양을 재현한다. 하지만 유방절제 부위의 피부 및 연부 조직이 손실돼 있으므로 보형물을 삽입할만한 공간이 부족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충분한 공간 확보가 우선인데, 이때 쓰이는 의료기기가 바로 '조직 확장기'다. 조직 확장기는 이름 그대로, 사전에 재건 부위의 피부와 조직을 서서히 늘려주는 역할을 한다. 내장 주입부를 통해 생리식염수와 같은 확장물질을 주기적으로 주입하면 조금씩 팽창해 공간을 확보하는 원리다.

 

조직 확장기의 주입부는 금속 재질로 이뤄져 있다. 확장물질 주입 시 자성을 이용하면 주입부 위치를 빠르고 쉽게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조직 확장기의 금속 재질로 인해 환자들이 MRI와 같은 진단 장비 이용이 어렵고 영상 촬영 시 금속에 의한 영상 간섭이 심해 암 추적 관찰에 문제가 생길 여지가 있다.

 

오스템임플란트는 이 문제 해결을 위해 금속 재료를 배제한 주입부 검출 방식을 고안해냈다. 즉 주사기가 자성의 끌어당김이 아닌, 새로운 방식으로 주입부를 찾아내 확장물질을 투입하는 혁신 기술을 창안한 것이다. 이 기술을 활용한 조직 확장기를 삽입하면 암 추적 진단 장비를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동물 실험을 거쳐 새로운 조직 확장기의 주입부 검출 가능성과 안전성을 확인한 오스템임플란트는 지난달 27일 서울아산병원에서 의료진과 연구원들을 대상으로 평가기술 교육을 진행했다.

 

이번 교육은 1차년도 과제 수행을 통해 개발한 '융복합 자성 프리 조직 확장기(Magnetic Free Expander)'를 실제 사용자인 성형외과 의료진에게 소개하기 위해 마련됐다. 서울아산병원 성형외과 의료진은 앞으로 새로운 조직 확장기의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 과제를 공동 수행하게 된다.

 

한현호 서울아산병원 성형외과 교수는 "'융복합 자성 프리 조직 확장기'는 금속 사용에 따른 문제를 본질적으로 해결했을 뿐만 아니라 표면 코팅 기술을 통해 환자에게 있을 수 있는 부작용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낮췄다"며 "향후 유방암 환자들이 좀 더 안전하게 유방재건술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오스템임플란트는 서울아산병원과 오는 2028년까지 공동수행하는 국책과제를 통해 '융복합 자성 프리 조직 확장기'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완벽히 검증할 방침이다. 나아가 기술 이전 및 상용화를 거쳐 현재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조직 확장기의 국산화에 본격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저작권자 © 청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선유로49길 23, 415호 (양평동4가, 아이에스비즈타워2차) 대표전화 : 02-2068-8800 l 팩스 : 02-2068-8778 l 법인명 : (주)팩트미디어(청년일보) l 제호 : 청년일보 l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6 l 등록일 : 2014-06-24 l 발행일 : 2014-06-24 | 편집국장 : 성기환 | 고문 : 고준호ㆍ오훈택ㆍ고봉중 | 편집·발행인 : 김양규 청년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9 청년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youth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