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원 홍보물.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1043/art_17612044221531_fd355f.jpg)
【 청년일보 】 23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문수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받은 'N수생(대학수학능력시험에 여러 차례 도전하는 수험생) 사교육비 조사 모델 개발 용역 보고서'에 따르면 2024학년도에 대학에 입학한 N수생 1만1천946명 가운데 월평균 가구소득이 800만원 이상의 '고소득'이라고 답한 사람은 전체의 4명 중 1명꼴(23.4%)인 2천801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800만원 이상'은 조사 대상 소득 중 가장 높은 구간으로, 올해 우리나라 4인 가구 기준 중위 소득(609만원)보다 현저히 많은 금액이다.
월 소득이 500만∼600만원이라고 답한 사람은 8.6%였고 그다음이 300만∼400만원(7.6%), 400만∼500만원(7.1%) 순이었다.
월 소득 800만원 이상 구간의 N수생들이 사교육을 경험한 비율은 85.5%로 다른 소득 구간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N수생의 사교육 비용을 부담하는 주체와 부담 비중을 보면 보호자가 사교육비의 90% 이상을 부담했다는 응답이 74.6%로 가장 많았다.
사교육 비용이 부담스러운지에 대한 질문에는 '부담이 큰 편이었다'(32.3%), '부담이 매우 컸다'(13.7%)라고 응답한 사람이 전체의 절반가량이었다.
그러나 N수 결과 '희망 대학에 입학하지 못했다'고 응답한 사람은 전체의 68.1%에 달했다.
'희망한 전공을 선택하지 못했다'는 응답도 47.9%로, N수를 하더라도 원하는 전공의 대학에 진학하는 수험생은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4학년도에 대학에 입학한 N수생의 23.4%는 '2025학년도 대입을 준비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 청년일보=안정훈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