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 '대기업으로'...최근 4년간 퇴직 공직자 2명 중 1명 "사기업 갑니다"

등록 2025.11.04 08:43:31 수정 2025.11.04 08:43:31
안정훈 기자 johnnyahn@youthdaily.co.kr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 분석
"국방부 출신 방위사업체 진출 두각"

 

【 청년일보 】 취업 심사를 신청한 퇴직 공직자의 10명 중 9명이 취업 승인을 취득했고, 이 가운데 절반 가량의 인원은 사기업으로 적을 옮긴 것으로 나타났다.

 

4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는 인사혁신처에 신고된 2022년 1월∼2025년 9월 취업 심사 신청자를 전수조사한 결과, 3천634명 중 3천297명(90.7%)이 영리 사기업·협회·공공기관 등에 대해 취업 승인 또는 가능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출신 기관별로 국방부(12.9%)와 경찰청(11.6%)이 두 자릿수 비중으로 높았고, 검찰청(5.5%), 금융감독원(4.9%), 국세청(4.5%)이 뒤를 이었다.

 

산업통상자원부(3.1%), 대통령비서실(2.7%), 국가정보원(2.2%) 출신 등도 타 분야 진출이 활발했다.

 

취업 기관을 유형별로 보면 일반 사기업이 47.5%(1천567명)로 가장 많았으며, 이 중 대기업집단 계열사가 19.2%(632명)였다.

 

이어 공공기관 17.1%(564명), 법무법인 9.5%(313명), 협회 6.9%(226명), 금융사 5.3%(175명) 순이었다.

 

퇴직 공직자가 가장 많이 취업한 대기업 집단은 한화(11.6%·73명)였다. 국방부 출신이 28명으로 가장 많았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오션, 한화시스템 등 방산 계열사에 집중됐다.

 

삼성(9.3%·59명)은 경찰청 출신(12명)이 가장 많았으며, 삼성전자서비스, 삼성전자, 에스원 등 보안·법무 관련 직군에 분포한 것으로 집계됐다.

 

현대자동차(7.6%·48명)는 국방부(11명)와 경찰청(5명) 출신 비중이 높았고, LIG(5.1%·32명)는 국방부(13명), 국방과학연구소(9명) 등 군 관련 인력이 다수였다.

 

이어 SK(4.4%·28명), 한국항공우주산업(KAI)(4.3%·27명), 쿠팡(3.8%·24명), LG(3.6%·23명), 카카오(3.2%·20명), 부영(3.0%·19명) 순이었다.

 

리더스인덱스는 "퇴직 공직자는 공직자윤리법에 따라 퇴직 전 5년간 속했던 부서 업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기관·조직에는 퇴직 후 3년간 취업할 수 없다"며 "국방부 출신의 방위사업체 진출이 두드러졌다"고 분석했다.

 

 

【 청년일보=안정훈 기자 】




저작권자 © 청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로35길 4-8, 5층(당산동4가, 청년일보빌딩) 대표전화 : 02-2068-8800 l 팩스 : 02-2068-8778 l 법인명 : (주)팩트미디어(청년일보) l 제호 : 청년일보 l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6 l 등록일 : 2014-06-24 l 발행일 : 2014-06-24 | 회장 : 김희태 | 고문 : 고준호ㆍ오훈택ㆍ고봉중 | 편집·발행인 : 김양규 청년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9 청년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youth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