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가 규제 강화 우려에 따른 매수세 회복으로 4년 8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18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9월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는 전월 대비 2.75% 상승, 2021년 1월(3.15%) 이후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실거래가 지수는 동일 단지·동일 주택형의 실제 거래 가격을 이전 거래와 비교해 산출하는 만큼, 상승은 실제 거래가가 이전보다 높게 체결된 사례가 증가했다는 의미다.
서울 실거래가는 ▲6월 2.36% 상승 후 ▲7월 0.97% ▲8월 -0.02%로 둔화됐으나, 9·7 공급대책 이후 공공 중심 공급 방식에 대한 실망감과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가능성이 부각되며 매수세가 다시 유입된 것으로 분석된다.
권역별로는 동남권(강남·서초·송파·강동구)이 3.85%로 2020년 7월(4.68%) 이후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이어 ▲서북권(마포·서대문·은평) 3.11% ▲동북권(성동·광진 등) 2.48% ▲도심권(용산·종로·중구) 2.48% ▲서남권(영등포·양천·동작 등) 2.39% 순으로 올랐다.
수도권 전체 실거래가 지수도 1.69% 상승, 지방(0.35%)보다 강한 오름세를 보였다. 이에 따라 전국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는 1.09% 상승, 2021년 9월(1.93%) 이후 가장 큰 폭으로 확대됐다.
10월 지수 역시 상승 흐름이 예상된다. 부동산원이 지난달 말까지의 신고분으로 집계한 서울 10월 잠정 실거래가 지수는 1.48%, 전국은 0.64%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10·15 대책 발표 이후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를 앞두고 일부 강북 지역에서 급매물 소화가 이뤄진 만큼, 최종 확정치는 조정될 여지가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