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국어 3번도 '정답 2개' 주장…서울대 교수 "지문 설명 자체가 틀려"

등록 2025.11.23 09:29:28 수정 2025.11.23 09:29:28
조성현 기자 j7001q0821@youthdaily.co.kr

17번 '정답 없음' 논란 이어 또 문제 제기…"설명 오류에 판단 바껴"
평가원, 25일 최종 정답 발표…정정 시 등급·표준점수 변화 가능성

 

【 청년일보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국어 영역에서 정답이 두 개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17번 문항의 '정답 없음' 논란에 이어 또다시 문제 오류 의혹이 불거진 것이다.

 

23일 교육계에 따르면, 이병민 서울대 영어교육학과 교수는 최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수능 국어 3번 문항의 정답이 두 개이며, 지문 내용 자체가 잘못됐다는 글을 올렸다. 해당 지문은 필립 고프 미국 텍사스대 명예교수의 '단순 관점'을 소개하며 독해 능력을 해독과 언어 이해로 구분해 설명하고 있다.

 

지문에는 "해독이 발달되면 글 읽기 경험을 통해서도 언어 이해가 발달될 수 있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그러나 이 교수는 "단순 관점 이론에서 언어 이해는 '듣기 능력'을 의미한다"며 "글 읽기 경험으로 언어 이해가 향상된다는 설명은 틀렸다"고 지적했다.

 

이 지문을 바탕으로 출제된 3번 문항은 언어 이해가 낮은 학생 A와 해독 능력이 부족한 학생 B를 제시한 뒤 단순 관점에 따른 적절하지 않은 해석을 고르는 문제다. 평가원이 공개한 정답은 4번이지만, 이 교수는 3번도 틀린 진술이기 때문에 정답이 두 개라고 주장했다. 지문 설명이 이론과 다르기 때문에 지문을 벗어나 이론적 기준으로 판단하면 3번과 4번이 모두 정답이라는 취지다.

 

이 교수는 "국가시험에서 소개한 이론의 기본 정의가 잘못된 것은 큰 문제"라며 "국어 교육계에서도 연구자가 많지 않은 분야를 왜 수능에 출제하는지 의문"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학생들이 난수표 같은 지문을 읽고 답만 맞히는 데 급급해지는 현 상황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덧붙였다.

 

올해 수능 국어 영역에서는 이미 17번 문항을 두고 포항공대 이충형 교수와 수능 국어 강사 이해황 씨가 "정답이 없다"고 주장한 바 있다. 해당 지문 역시 고교 교육 수준을 넘어섰다는 난이도 지적이 함께 제기됐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지난 17일까지 이의 신청을 접수했으며, 심사를 거쳐 25일 최종 정답을 확정해 발표한다. 정답이 정정될 경우 국어 영역의 등급과 표준점수도 변동될 수 있다. 다만 평가원이 정답 정정에 매우 보수적이었던 만큼 복수 정답 또는 전원 정답 처리 가능성은 낮게 전망된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




저작권자 © 청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로35길 4-8, 5층(당산동4가, 청년일보빌딩) 대표전화 : 02-2068-8800 l 팩스 : 02-2068-8778 l 법인명 : (주)팩트미디어(청년일보) l 제호 : 청년일보 l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6 l 등록일 : 2014-06-24 l 발행일 : 2014-06-24 | 회장 : 김희태 | 고문 : 고준호ㆍ오훈택ㆍ고봉중 | 편집·발행인 : 김양규 청년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9 청년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youth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