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1인 가구가 늘고 대면관계가 약화하면서 지난 한 해 고독사 사망자 수가 3천900여명으로 전년 대비 7% 이상 늘었다.
남성이 80% 이상을 차지한 가운데 연령대별로는 50대와 60대 중장년층 비중이 높았다.
정부는 내년에 실태조사를 실시해 사회적 고립 위험군의 규모와 주요 특성을 파악하고 고독사 예방 및 관리 사업 대상을 확대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는 27일 이런 내용을 중심으로 하는 ‘2024년도 고독사 발생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고독사는 가족·친척 등 주변 사람들과 단절된 채 사회적 고립 상태로 생활하던 사람이 자살·병사 등으로 임종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번 조사는 2024년 경찰청 형사사법정보 5만7천145건을 분석해 고독사 요건에 부합하는 사례를 뽑은 뒤 특성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2024년 고독사 사망자는 3천924명으로 2023년(3천661명) 대비 263명(7.2%) 늘었다.
전체 인구 10만명당 고독사 사망자는 이 기간 7.2명에서 7.7명으로 전체 사망자 100명당 고독사 사망자도 같은 기간 1.04명에서 1.09명으로 증가했다.
고독사 규모가 늘어나는 것에는 1인 가구 비율이 증가(2023년 35.5%→2024년 36.1%)하고 고령화가 계속되는 점, 디지털 기술 발달로 대면 관계가 약화하고 코로나19 이후 배달 노동 위주로 일자리 구조가 바뀐 점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지역별로 보면 지난해 고독사 사망자는 경기(894명, 22.8%), 서울(784명, 20.0%), 부산(367명, 9.4%) 순으로 많았다.
성별로는 남성이 3천205명(81.7%)으로 여성(605명, 15.4%)의 5배 이상이었다. 주민등록번호가 없는 경우 등 성별 미상은 114명(2.9%)이었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60대가 1천271명(32.4%), 50대가 1천197명(30.5%)으로 5060 중장년층이 가장 많았고, 40대(509명, 13.0%)와 70대(497명, 12.7%)가 뒤를 이었다.
성별과 연령대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보면 60대 남성 사망자(1천89명, 27.8%)가 가장 많았고, 50대 남성(1천28명, 26.2%)이 두 번째로 많아 중장년 남성이 고독사에 가장 취약한 것으로 분석됐다.
발생 장소는 주택(1천920명, 48.9%), 아파트(774명, 19.7%), 원룸·오피스텔(769명, 19.6%) 순으로 많았다. 주택과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은 최근 5년간 감소하는 추세인 반면 원룸·오피스텔, 여관·모텔, 고시원의 비중은 늘어나는 추세였다.
복지부는 2026년 ‘사회적 고립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고독사 예방 및 관리 사업 대상을 사회적 고립 위험군으로 확대하고 사업 유형을 세분화해 청년·중장년·노인에 대한 특화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고독사와 사회적 고립 위험군을 미리 찾아 상담 등을 지원하는 ‘고독사위기대응시스템’도 2026년부터 운영한다.
박재만 복지부 복지행정지원관은 “내년부터 사회적 고립 위험군을 조기에 찾고 생애주기별 주요 특성에 따른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박상섭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