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청년일보 】 글로벌 1위 배터리 기업인 중국 CATL의 작년 순이익이 전년 대비 최대 45% 급증한 것으로 추정됐다.
국내 배터리 3사가 지난해 전기차 배터리 사업에서 각각 3천∼5천억원대 적자를 기록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4일 업계에 따르면 CATL은 최근 잠정 실적 발표를 통해 지난해 순이익 추정치를 전년 대비 20∼45% 늘어난 40억6천만∼49억1천만위안(6천864억∼8천294억원)으로 제시했다.
반면 국내 배터리 3사는 지난해 나란히 적자를 기록했다.
LG화학은 배터리 사업에서 영업손실 4천543억원을 기록했고, SK이노베이션 배터리 사업은 실적이 소폭 개선됐으나 여전히 영업손실이 3천91억원이었다. 삼성SDI도 중대형 전지 사업에서 최대 5천억원대 적자를 냈을 것으로 추정됐다.
중국 정부는 이른바 '화이트리스트'를 통해 자국 배터리가 탑재된 전기차 위주로 보조금을 지급해 왔으며, 배터리 업체 수가 2년 만에 절반으로 줄면서 CATL 등 상위권 업체에 지원이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중국 정부가 자국 배터리 기업에 집중된 보조금 정책을 올해로 중단한다고 공언해 상대적으로 우리 기업들의 수혜가 예상된다.
가파르게 확산하고 있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도 배터리 사업에 복병이다.
회사는 푸젠(福建)성, 칭하이(靑海)성, 장쑤(江蘇)성에 있는 모든 공장의 가동을 중단했으며, 10일 재개할 예정이다. 특히 CATL은 생산물량 가운데 60% 정도를 내수 시장에 납품하고 있어 타격이 불가피하다.
그런데도 업계 관계자는 "중국 완성차 공장도 가동 중단 상태여서 납기를 맞추는 데는 무리가 없을 것"이라며 "기업의 성장에는 큰 영향이 없지 않겠냐"고 전망했다.
국내 배터리 업체 가운데서는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이 중국 배터리 공장 가동을 멈췄고, 삼성SDI는 공장을 정상 가동 중이다. 당장은 피해가 중국 공장 가동 중단에 그쳤지만, 신종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중국 소재 수급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 청년일보=김지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