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시재생 뉴딜정책이 부동산 시장에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5년간 50조원이 넘는 자금이 투자될 것으로 알려지면서 재건축, 재개발에 참여하기 힘들었던 중소 건설사에게 새로운 수익처가 나타났다는 분석이다.
22일 서울시는 시내 도시재생 사업을 총괄할 '서울시 도시재생지원센터' 개소식을 개최했다. 도시재생지원센터는 각 현장의 도시지원센터를 총괄하며 사업 추진상황을 모니터링 하며 매뉴얼과 사례를 공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울시는 뉴타운등 정비사업 해제지역에서 재개발을 대체할 도시재생 사업에 시 차원에서 인력과 자금을 지원하는 등 도시재생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국토지주택공사(LH)도 가로주택정비사업 조합과 공동시행 약정을 채결하면서 관 차원에서 도시재생 뉴딜정책 실행에 본격적으로 착수하고 있는 모습이다.
각 사업지마다 부족한 시설이나 인프라가 다르게 구성돼 있어 도시재생은 가로를 살리면서 주택을 통합하는 가로주택 정비사업, 기반 인프라를 정비하는 기반시설 개선사업등 사업지에 적절한 정비사업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도시재생 사업의 특성에 중소건설사들이 관심을 갖고 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분위기다.
재건축과는 다르게 사업규모가 작아 큰 자금이 필요치 않고 정비구역 지정, 추진위원회 구성 등의 사업절차 생략을 통해 빠른 사업진행으로 수익성 마련이 쉽기 때문이다. 대형건설사들이 재생사업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는 점도 호재로 분석된다.
한 중소건설사 관계자는 "재건축, 재개발과 함께 도시재생이 전국적으로 진행되면서 사업에 참여하는 기회가 늘었다"며 "대형건설사들이 크게 관심을 보이지 않는 틈새시장을 공략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문가들은 도시재생 사업이 재건축, 재개발 같은 대형 정비사업처럼 부동산 가격에 미치지는 않지만 정부가 정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지속적이고 꾸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현재 서울을 비롯한 전국 지자체 들이 재생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며 "대형 정비사업에 비해 부동산 가격에 미칠 영향은 작지만 영향력이 길게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존주민들이 밀려나는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을 잘 방지하고 주민생활이 안정화 된다면 지역 부동산 시장이 안정적으로 성장하는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