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5월 서울 지하철 2호선 구의역에서 스크린 도어를 수리하던 청년이 달려오던 전동차에 치여 숨지는 안타까운 일이 발생했다.
이 뿐만이 아니라 산업현장에서 일하는 청년들은 항상 위험에 노출돼 목숨을 잃어거나 다치는 경우가 해마다 발생하고 있다.
27일 신보라 자유한국당 의원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산업재해로 사망하거나 다치거나 질병을 얻은 청년층(15~29세)은 8668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해당 기간 산업재해를 당한 전체 근로자의 9.6%에 달한다.
주목해야 할 부분은 청년 층의 산업재해는 매년 증가 추세라는 것이다. 2015년 8368명에서 2016년 8668명으로 증가했으며, 2017년 6월 기준으로 4131명으로 집계됐다.
신 의원은 "매년 산업재해가 발생하는 안타까운 현실에서 특히 청년들은 첫 직장, 낯선 작업환경에서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더욱 높다"며 "청년들에게 실효성 있는 맞춤형 산업재해 저감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어 "산업재해를 은폐하거나 신고하지 않는 행위를 갈력히 처벌해야 한다"면서 "이를 위해 주기적 근로 감독을 통해 산업재해 사각지대에 놓인 청년들이 없도럭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 의원에 따르면 산재 미신고 및 산재 은폐 실태에 관한 기존 연구결과 41.2%에서 최대 83.1%의 산재가 산재보험이 아닌 공상으로 처리되거나 보상받지 못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