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이 지난달 29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30730/art_16901567319399_cfc544.jpg)
【 청년일보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 조사 결과 지난해 일반 공산품 리콜(결함 보상)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공정위에 따르면 정부 각 부처, 한국소비원 등의 지난해 리콜실적을 분석한 결과, 디퓨저 등 일반 공산품 리콜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세정제, 방향제 등과 같은 관리대상 생활화학제품의 증가, 해외 리콜제품에 대한 정보수집 확대 및 국내 유통 모니터링 강화 등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결함 보상을 뜻하는 리콜은 지난해 3천586건으로 3천470건이었던 지난 2021년 대비 116건(3.3%) 증가했다. 전년에 이어 2년 연속 증가다.
지난 2021년 리콜 건수는 전년인 2020년 2천213건보다 56.8% 급증한 바 있다.
주요 품목별 리콜 건수는 공산품의 경우 2021년 1촌719건에서 지난해 2천303건으로 34% 증가한 반면, 의약품·자동차·의료기기 등 품목의 경우 리콜건수가 감소하였다.
공정위에 따르면 공산품 리콜 건수의 증가는 세정제, 방향제 등과 같은 관리대상 생활화학제품의 증가, 해외 리콜제품에 대한 정보수집 확대 및 국내 유통 모니터링 강화 등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공정위는 해외에서 리콜된 제품이 구매대행 및 오픈마켓 사이트 등을 통해 국내로 유통되는 것이 확인되면 해당 판매사이트에 요청하여 게시물을 삭제하거나 판매를 차단하고, 국내 수입·유통업자가 확인되는 경우에는 사업자에게 환급이나 교환과 같은 조치를 권고해 유통을 차단하고 있다.
더불어 해외 위해제품이 국내 온라인 사이트 등을 통해 유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해외위해제품관리 실무협의체를 구성하여 관계부처와 공동으로 대응하고 있으며, '소비자24'를 통해 각 부처에 흩어진 안전 인증정보와 국내․외 리콜제품 정보를 통합 제공하고 있다.
공정위는 "앞으로도 소비자24 등을 통해 각 부처 등에서 실시한 주요품목의 리콜 사례를 안내하여 소비자들의 피해를 예방할 것"이라며 "올해부터는 소비자단체 등 민간단체에서도 해외 위해제품의 국내 유통 감시를 하도록 지원하는 등 안전한 소비환경 조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청년일보=오시내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