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M 소액주주 獨 '하팍' 지지에···업계 "국부유출 우려"

등록 2023.08.28 09:36:50 수정 2023.08.28 09:37:07
이창현 기자 chlee3166@youthdaily.co.kr

소액주주 단체 일부 회원, 獨 하팍로이드 본사 측과 접촉
수십 년간 쌓은 해운물류 노하우와 정보자산 유출 우려

 

【청년일보】 국내 최대 컨테이너 선사 HMM의 인수전이 국내외 기업들의 참여로 진행 중인 가운데 HMM 소액주주들이 독일 하팍로이드로의 인수를 희망하며 주주행동에 나선다.

 

28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이달 말 산업은행(산은)의 숏리스트(투자적격 후보) 선정을 앞두고 HMM 소액주주들은 온라인 커뮤니티에 모여 주주 위임장을 모으고 하팍로이드의 HMM 인수 지지 성명을 준비 중이다.

 

일부 회원은 독일 하팍로이드 본사 측에도 접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산업은행이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를 목표로 한다면 독일 하팍로이드에도 본입찰 참여 기회를 줘야 한다고 주장한다.

 

산은과 한국해양진흥공사(해진공)가 배임 논란을 우려해 보유 중인 전환사채(CB)와 신주인수권부사채(BW) 등 영구채의 주식전환을 결정했는데, 자금력에서 국내 업체들보다 우위에 선 하팍로이드가 숏리스트에서 밀려나면 그 또한 배임 소지가 있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해운업계에 따르면 세계 5위 해운사인 하팍로이드는 지난 6월 기준 총유동성이 100억달러(약 13조원)에 달한다. 이번 HMM 예비입찰에서는 외국계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를 자문사로 선정하고 다른 경쟁 후보들보다 높은 가격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HMM 소액주주들은 산은과 해진공의 영구채 주식 전환 전례가 있어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해운업계가 코로나19로 전대미문의 호황을 누린 2020∼2021년 HMM 주가도 크게 올랐지만, 2021년 산은과 해진공이 CB를 주식으로 전환하자 주식 발행 물량이 쏟아져나와 주가가 급락했기 때문이다.

 

이들은 산은과 해진공이 주주가치를 훼손하는 결정을 내려왔다며 침체기에 접어든 해운 업황을 고려할 때 세계 5위 선사 하팍로이드야말로 HMM의 기업가치를 끌어올릴 수 있는 적합한 후보라는 입장이다.

 

다만 업계 안팎에선 국민 정서 등을 고려해 외국 기업인 하파그로이드는 최종 선정되기 어려울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온다. 국적선사가 해외에 넘어갈 경우 '국부 유출'이라는 논란에 시달릴 수 있기 때문이다.

 

앞서 지난 23일 한국해양산업총연합회와 부산항발전협의회는 성명서를 통해 "하팍로이드에 HMM을 매각한다면 우리나라 컨테이너 운송자산, 터미널 및 수십 년간 쌓아온 해운물류 노하우와 같은 정보자산 등 값으로 환산할 수 없는 국가자산의 해외 유출이 우려된다"고 주장했다.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저작권자 © 청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로35길 4-8, 5층(당산동4가, 청년일보빌딩) 대표전화 : 02-2068-8800 l 팩스 : 02-2068-8778 l 법인명 : (주)팩트미디어(청년일보) l 제호 : 청년일보 l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6 l 등록일 : 2014-06-24 l 발행일 : 2014-06-24 | 편집국장 : 성기환 | 고문 : 고준호ㆍ오훈택ㆍ고봉중 | 편집·발행인 : 김양규 청년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9 청년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youth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