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 신선대부두 야적장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521/art_1747891014755_f27a6e.jpg)
【 청년일보 】 모건스탠리가 올해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0%에서 1.1%로 소폭 상향 조정했다. 이는 미국과 중국 간 관세 갈등의 완화 조짐과 미국의 상호 관세 유예 조치 등에 따른 결정이다.
22일 모건스탠리는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은 수정 전망을 발표하면서, 관세 관련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한국 경제에 대한 비관적 전망을 일부 완화했다고 밝혔다.
캐슬린 오 모건스탠리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미중 간 관세 긴장이 단계적으로 축소되고 있으며, 미국의 90일 관세 유예 발표가 한국의 수출 전망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관세 관련 불확실성은 여전히 존재해 한국에 대한 전반적인 약세 전망은 유지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모건스탠리는 내년(2026년) 성장률 전망치도 1.4%에서 1.5%로 상향 조정했다.
또한, 캐슬린 오 이코노미스트는 내달 대선 이후 재정 정책이 한국 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하반기 중 2차 추가경정예산이 단행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를 통해 경기 부양이 본격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통화정책 측면에서도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현행보다 추가로 인하해 연내 2.0%까지 낮출 것이라는 전망도 내놓았다. 이는 경기 부양을 위한 재정·통화 정책 공조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한편, 오 이코노미스트는 이러한 정책 조합에도 불구하고 2025~2026년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평균 1.9% 수준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점진적인 국내 회복과 유가에 하방 압력을 가하는 글로벌 수요 약세가 CPI 상승률을 억제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 청년일보=조성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