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521/art_17481429685324_bf215a.jpg)
【 청년일보 】 기업들은 미국의 잦은 관세정책 변경에 따른 불확실성 증가와 관세분쟁발(發) 글로벌 경기 악화를 우려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비관세장벽 해소 등 미국과의 성공적 협상을 통해 대미 관세율 인상 최소화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이하 한경협)는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1천대 기업 중 수출 기업을 대상으로(150개사 응답) '미국 트럼프 정부 관세정책의 영향 및 대응과제 설문조사'를 진행해 이같은 결과가 도출됐다고 26일 밝혔다.
기업들은 미국의 관세정책에 따른 경영 애로요인으로 ▲트럼프정부 관세정책의 잦은 변경에 따른 불확실성 증가(24.9%) ▲관세분쟁에 따른 글로벌 경기악화(24.0%) ▲미국 수출감소(18.8%) ▲환율변동 리스크 증가(17.5%) ▲중국 덤핑수출에 따른 피해(10.5%) 등을 꼽았다.
미국의 관세정책으로 기업이 겪고 있거나 겪을 것으로 예상하는 실무애로와 관련해서는 ▲미국 수입업체와의 단가조정 협상(53.4%) ▲미국 현지 통관절차 관련 정보(21.3%) ▲원산지 판정 기준 관련 세부정보 파악(13.3%)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美 정부의 관세정책이 지속될 경우 올해 수출액은 2024년에 비해 평균 4.9% 감소한다고 응답했다. 업종별 감소율은 ▲전기·전자(-8.3%) ▲자동차·부품(-7.9%) ▲석유화학·석유제품(-7.2%) ▲일반기계(-6.4%) ▲반도체(-3.6%) ▲철강(-2.8%)이다.
미국 관세정책에도 불구하고 선박과 의료·바이오헬스는 수출액이 각각 10.0%, 1.6%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美 정부의 관세정책에 대한 기업 대응방안과 관련해서는 ▲수출시장 다변화(26.9%) ▲글로벌 생산·조달·물류 구조 재조정(19.8%) ▲환율 리스크 관리 강화(16.5%)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정부의 대응방안과 관련해서는 ▲미국과 협상을 통한 관세율 최소화(44.6%) ▲수출시장 다변화 지원(13.6%) ▲면세 대상품목 최대화(13.1%) ▲경쟁국과 동일한 관세율 적용(9.4%) ▲수출 애로 업종에 대한 금융 및 세제지원(9.4%) 등이었다.
우리 정부가 미국 정부와 원활한 관세협상을 위해 사전에 추진해야 할 대책과 관련해서는 ▲미국이 주장하는 비관세 장벽 해소 노력(45.3%) ▲금리 인하(23.4%) ▲조선산업 협력방안 제시(12.5%) ▲미국제품 수입 확대(8.9%) 등의 순서로 조사됐다.
수출 대기업 81.3%는 美 정부의 관세정책이 우리나라와 미국 기업 모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했고, 관세분쟁이 최소한 6개월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84.0%)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최근 미중간의 한시적 관세 인하 합의에도 불구하고, 미 무역적자 지속, 신용등급 강등, 후속 관세협상 난항 등으로 관세정책 불확실성은 상존한다"면서 "정부는 미국의 관세정책 변화 양상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비관세장벽을 해소하는 한편, 국내기업들의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는 협상전략을 강구해야한다"고 강조했다.
【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