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상승 출발 후 3,188.07 마감…"저항심리 박스권 형성"

등록 2025.07.18 17:51:42 수정 2025.07.18 17:51:54
박제성 기자 pjs@youthdaily.co.kr

8일 코스피, 전날 거래대비 4.22포인트 내린 3,188.07 마감
대신증권 " 코스피 지수 상승 후 과열 해소와 매물 소화 과정"

 

【 청년일보 】 코스피가 18일 3,180선 마감으로 거래를 마쳤다. 이날 장 초반 3,200선에 진입한 후 약세로 전환해 등락을 거듭하다 3,188선에 장을 마감했다.

 

1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는 전날 거래대비 4.22포인트(0.13%) 내린 3,188.07에 거래를 마쳤다.

 

개인은 3천409억원를 순매도한 반면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천897억원과 619억원을 순매수했다. 외국인과 기관이 이날 코스피 지수 하락에 방어 역할을 했다.

 

증권업계는 이달 들어 코스피 시장이 개인투자자를 중심으로 차익실현 매물이 쏟아져 나온 것이 지수상승을 막는 영향을 주고 있다고 분석했다.

 

코스피200 시장에서는 외국인이 2천895억원의 순매수를 했고, 기관은 2천301억원을 순매도했다.

 

대신증권은 "전일 미국 증시가 강한 소비지표가 상승했지만 국내 코스피 증시는 3,200선을 형성한 뒤 하락했다“며 ”코스피가 3,200선에서 저항심리가 발동돼 3,160~3,210 부근에서 박스권을 형성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는 최근 가팔랐던 코스피 지수 상승 후 과열 해소와 매물 소화 과정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간밤 미국 상무부는 미국의 6월 소매판매가 7천201억달러로 전월보다 0.6% 증가해 시장 전망치인 0.2%를 웃돌았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0.52% 상승했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와 나스닥종합지수는 각각 0.54%와 0.73% 올라 이틀 만에 사상 최고치를 또다시 경신했다.

 

이날 오후 3시 30분 기준 서울 외환시장에서 미국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전날보다 0.4원 오른 1,393.0원으로 집계됐다.

 

전날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부당합병·회계부정에 대한 대법원의 무죄 확정 판결로 '사법리스크'를 족쇄를 완전히 털어낸 삼성전자는 이날 0.60% 오른 6만7천100원에 장을 마쳤다.

 

다만, 전날 동반 상승했던 여타 삼성주들은 대체로 하락하는 흐름을 보였다. 삼성물산(-5.42%), 삼성생명(-3.0%), 삼성중공업(-0.63%), 삼성바이오로직스(-1.78%) 등도 하락했다.


전날 차익실현 매물과 골드만삭스의 투자의견 하향 조정 여파로 8.95% 하락했던 SK하이닉스는 이날 0.19% 내린 26만9천원에 거래를 마쳐 하락세가 진정되는 양상을 보였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에선 두산에너빌리티(2.37%), LG에너지솔루션(1.74%), HD현대중공업(1.25%), 현대차(0.24%) 등이 상승했다. 반면 신한지주(-1.43%), KB금융(-1.22%), 네이버(-0.62%), 기아(-0.40%) 등은 내렸다.

 

업종별로는 기계장비(1.11%), 전기전자(0.91%), 비금속(0.47%) 등이 강세를 보인 반면, 보험(-2.69%), 증권(-1.69%), 음식료담배(-1.43%), 섬유의류(-1.24%), 제약(-1.14%) 등은 하락세였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대비 2.40포인트(0.29%) 오른 820.67에 장을 마쳐 2거래일 연속 상승했다.

 

개인은 738억원을 순매도했고,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424억원과 322억원을 순매수했다.

 

에코프로비엠(9.04%), 리가켐바이오(6.20%), 에코프로(3.97%), 펩트론(3.88%), 에이비엘바이오(1.78%) 등이 상승했다. HBL(-2.04%), 파마리서치(-1.90%), 클래시스(-1.68%), 리노공업(-0.99%) 등은 하락했다.

 

이날 한국거래소 코스피 시장과 코스닥 시장의 거래대금은 각각 11조8천450억원과 5조9천600억원이었다.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의 프리·정규마켓의 총 거래대금은 7조5천48억원으로 집계됐다.

 


【 청년일보=박제성 기자 】




저작권자 © 청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선유로49길 23, 415호 (양평동4가, 아이에스비즈타워2차) 대표전화 : 02-2068-8800 l 팩스 : 02-2068-8778 l 법인명 : (주)팩트미디어(청년일보) l 제호 : 청년일보 l 등록번호 : 서울 아 04706 l 등록일 : 2014-06-24 l 발행일 : 2014-06-24 | 편집국장 : 성기환 | 고문 : 고준호ㆍ오훈택ㆍ고봉중 | 편집·발행인 : 김양규 청년일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19 청년일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admin@youthdail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