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청년재단은 2019년부터 2025년까지 7년간 '청년다다름사업'을 통해 취약계층 청년 1천585명의 진로 탐색을 체계적으로 지원했다고 27일 밝혔다.
'청년다다름사업'은 삶의 조건과 속도가 서로 다른 청년 개개인을 존중하고, 정서적 회복과 경험 기반 탐색을 통해 진로 설계를 돕는 재단의 대표 사업이다.
청년재단은 이러한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지원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지난 25일 서울 나인트리 프리미어 로카우스 호텔에서 '청년다다름사업 성과포럼-다다른 청년, 다 다른 미래'를 개최했다.
'청년다다름사업'은 장기미취업·자립준비·가족돌봄 등 정책의 사각지대에 놓인 청년을 발굴해, 개인별 상황에 맞춘 맞춤형 진로탐색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매년 150~300명이 참여했다.
성과포럼에서 공개된 '청년다다름사업 성과연구(2025)'에 따르면, 참여 청년들의 삶의 만족도는 평균 15% 이상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변화 경험을 보여주는 성과 키워드로는 ▲관계를 맺다 ▲진로를 찾다 ▲시도하다가 도출됐다.
마지막 토크콘서트에서는 청년들이 직접 무대에 올라 자신의 변화를 진솔하게 이야기했다.
청년 A씨는 "가족 돌봄으로 시간과 비용의 여유가 없었지만, 청년다다름사업을 통해 진로 관련 공부를 시작할 기회를 얻었다"면서 "앞으로 영향력 있는 사람이 돼 제가 받은 도움을 다른 청년들에게 반드시 환원하겠다"고 밝혔다.
청년 B씨는 "20대 초반 큰 수술 이후 10년 가까운 고립의 시간을 보냈지만, 마지막 용기를 내어 청년다다름사업에 참여했고, 이후 작가로 데뷔하는 등 삶이 달라졌다"면서 "과거의 나처럼 시간이 멈춰 있는 청년들이 이 사업을 통해 다시 회복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조은빛 맞춤사업팀 팀장은 "이번 성과포럼은 지금 청년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이 '조금 더 머무를 시간'과 '시도해볼 기회'임을 보여준 자리였다"고 강조했다.
오창석 청년재단 이사장은 "지난 7년 동안 수많은 청년과 종사자들이 함께 걸어온 서로 다른 여정에 박수를 보낸다"면서 "청년의 성장과 회복은 개인의 경험에 머물지 않고 우리 사회 변화를 이끄는 초석이 된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