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자율주행자동차에 관한 국가표준(KS)을 지난해 93종에서 2021년 200종으로 확대한다.
산업통산자원부는 7일 오후 서울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서 '자율주행차 표준기술연구회'를 열고 자율주행차 관련 KS 확충, 국제표준 제안 확대 방안 등을 논의한다고 밝혔다.
국가기술표준원 주최로 열린 이날 회의는 현대, 한국지엠, 르노삼성 등 완성차업체와 자동차산업협회, 한국도로공사, 학계 및 연구원 관계자 20여명이 참석했다.
국가표준 추진 분야는 다양하다. 자동으로 차선을 변경하는 자율 차선 변경 시스템, 엔진제어·조향장치 등 차량 내부의 전자제어장치간의 1기가비트(Gbps)급 고속 광통신용 인터페이스, 차량무선통신(WAVE)을 활용한 차량·사물통신(V2X) 표준 등이다.
자율주행차의 디지털 부품, 센서 등 반도체 사용 증가에 따라 자동차 반도체 가이드라인 국제표준(ISO 26262-11)이 올해 6월쯤 제정될 전망이어서 이를 KS로 신속 제정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또 차선유지보조시스템 성능평가 방법 등 우리나라가 제안한 11종의 자율주행차 기술이 국제표준으로 채택되도록 국제회의 전문가 참가 지원 등 국제표준화 활동도 강화한다.
기술표준원 관계자는 "2021년까지 자율차 관련 국가표준 200종 확대와 활용·확산 방안, 한국도로공사에서 추진하는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C-ITS) 및 자율협력주행 현황도 이날 회의에서 발표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