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일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가 늘면서 관련 소비자 상담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네일서비스의 경우 회원제 계약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계약 중도 해지를 거부하거나 과다한 위약금을 청구하는 등 소비자피해가 증가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고 29일 밝혔다.
소비자원에 따르면 지난해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네일서비스 관련 소비자상담은 676건으로 집계됐다. 4년 전(2013년, 411건)에 비해 64% 늘었다. 네일서비스 관련 소비자상담은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이며 최근 5년간 접수된 소비자상담은 2616건, 피해구제는 92건이었다.
소비자원이 소비자상담 2616건을 불만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계약 중도 해지를 거부하거나 과다한 위약금을 청구한 경우'가 46.7%(1221건)로 가장 많았다.
소비자원은 대부분의 네일서비스 업체는 장기계약(회원제)과 단기계약(일회성 비회원)으로 구분해 서비스 금액에 차이를 두면서 고액의 회원제 장기계약을 유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당초 설명과 달리 무료서비스를 이행하지 않는 등의 '계약불이행'이 15.1%(395건), 소비자에게 안내하지 않은 유효기간을 계약조건으로 설정해 일정 기간 후 서비스 잔여액을 소멸시키는 등의 '부당행위'가 7.6%(199건), '서비스 불만족' 6.2%(163건) 등의 순이었다.
'방문판매 등에 관한 법률' 제30조 제2항에 따라 '계속거래' 계약 시 사업자는 계약서를 작성해 소비자에게 교부해야 한다. 그러나 소비자원은 일부 네일서비스 업체들이 계약서를 작성하지 않고 구두 설명 또는 쿠폰 지급만 하는 실정인 것으로 파악했다.
소비자원은 계약서를 작성하지 않을 경우 추후 분쟁 발생 시 계약 내용을 입증하기 어려워 소비자가 제대로 된 보상을 받지 못할 수 있고 관련 업체도 계약서 미교부로 행정처분을 받을 수 있어 거래관행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소비자원은 소비자 피해예방 및 확산방지를 위해 관련 업계(협회)에 법과 기준 등 준수사항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또 소비자원은 소비자들에게 △계약조건을 꼼꼼히 확인하고 계약서를 반드시 교부받을 것 △장기계약 시 해당 업체의 도산 등에 대비해 카드 할부거래를 이용할 것 △계약 중도 해지 요청 시 명확하게 의사를 표하고 증거자료를 남기는 등 분쟁에 대비할 것을 당부했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네일서비스 업체 대부분 일반가보다 저렴한 금액 또는 무료 서비스 추가 등을 내세우며 일정 금액을 미리 지불하는 고액의 회원제 가입을 유도하고 있는 만큼 소비자들은 충동적으로 계약을 체결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