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청년일보 】김남호 DB그룹 회장은 올해의 경우 예측 불허 속 포스트 팬데믹 시대가 본격화 되는 등 대전환의 급물살이 되는 변곡점이 될 것이라며 향후 어떠한 환경에서도 맞설수 있는 대응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미래 성장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도전적이고, 능동적으로 실행 과제를 수행하는 한편 디지털 전환에 걸맞는 시스템 구축과 인적 역향 확보에 심혈을 기울일 것을 당부했다.
김 회장은 3일 새해 신년사를 통해 현재 우리 기업들에게 직면한 경영환경이 너무나도 긴박하게 전개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 예측불허 속 포스트 팬데믹 시대의 개막에 맞춰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외부 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 확보에 심혈을 기울여 줄 것을 강조했다.
김 회장은 "올해는 포스트 팬데믹 시대의 개막과 함께 대전환의 급물살이 시작되는 변곡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변동성과 불확실성이 높이지고 있는 지금 이 시대 기업경쟁의 목표는 '생존을 넘은 성장'으로 요약된다"고 밝혔다.
이어 "(이에) 각각의 경영 환경의 변화의 폭과 속도를 통찰하고 분석해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실행하는 한편, 최소 10년 뒤의 미래를 향한 큰 그림과 전략 구상 등 이전과는 다른 차원의 준비와 노력이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이를 위해 그룹 전 임직원들에게 세가지를 당부했다.
우선, 회사의 수익 기조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어떤 환경 변화에도 맞설 수 있는 대응력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회장은 "각 사가 중단기 성장목표와 전략을 보다 구체화하고 제품, 기술, 영업, 고객 관리 전반에 대해 재점검해 위기 상황에 대한 대응력을 그 어느 때보다 높여야 한다"고 전했다.
이어 "미래에도 지속 성장할 수 있는 기업을 만들기 위해 도전적이고 능동적인 과제를 발굴, 실행에 옮겨달라"면서 "포스트 팬데믹 시대에 걸맞는 유망한 신성장 동력을 발굴하는 한편 ESG(환경·사회·지배구조)와 탄소 중립 등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일도 시대의 흐름이라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아울러 디지털 전환 시대에 걸맞은 시스템 구축과 인적 역량 확보에도 심혈을 기울여 줄 것을 당부했다.
그는 "각 사업부문은 수집, 분석된 데이터를 디지털화하는 한편 적절하게 활용해 상품 개발부터 서비스 개선, 고객 관리 등 경영 각 현장에서 최적의 솔루션을 구현하는 시스템을 구축해 달라"면서 "디지털 시대에는 자본보다 인재가 중요한 만큼 인력 운용과 제도 전반에 근본적 변화를 시도해 활력있는 기업 문화를 만들어 달라"고 주문했다.
한편 김 회장은 지난 한해 동안 그룹은 매출과 이익 양면에서 눈부신 성과를 거두었고, 특히 그룹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신장해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정착시키는 한편 질적 성장을 위한 토대를 구축하게 됐다며 이는 모든 임직원들의 수고와 노력 덕분이었다고 격려했다.
【 청년일보=김두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