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일보 】 한국화재보험협회 컨소시엄(화재보험협회·루트랩·포항공과대 산학협력단)은 지난 10일 스페이스쉐어 서울역센터에서 ‘소방안전 빅데이터 플랫폼 기반 분석서비스 지원 성과발표 컨퍼런스’를 열고 소방안전 분야에서의 빅데이터 분석 활용 성과와 대표 사례를 공유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추진하는 ‘빅데이터 플랫폼 기반 분석서비스 지원사업’의 소방안전 분야 주요 성과를 소개하고 데이터 기반의 소방안전 점검·설비 관리 체계 강화를 위한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행사에서는 소방안전 관련 데이터가 현장의 의사결정과 안전관리 효율화를 이끄는 핵심 자원으로 부상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특히, 분석 결과가 단순한 기술 실증을 넘어 실제 정비·점검·운영 의사결정에 적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되었다는 점에서 사업의 의미가 크다고 평가됐다. 또 데이터 기반의 위험요인 진단과 맞춤형 예방 전략이 산업 전반의 안전 수준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도 확인됐다.
협회는 이번 컨퍼런스를 계기로 수요기업과 공동연구 및 실증 확장, 데이터 연계 확대 등 후속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분석서비스의 고도화와 산업계 협업 확대를 통해 데이터 기반 소방안전 혁신 생태계 조성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화재보험협회 관계자는 “이번 사업은 단순한 기술 검증을 넘어, 참여 기업들이 실제로 활용 가능한 분석 결과와 프로세스를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향후 분석서비스의 모델화·표준화·확산을 통해 소방안전 분야의 데이터 기반 위험관리 문화를 정착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박상섭 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