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오른쪽 두번째)이 14일 서울 중구 직업능력심사평가원에서 열린 중대재해 근절을 위한 건설사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833/art_17551626166783_0e7638.jpg)
【 청년일보 】 고용노동부와 더불어민주당 산업재해예방 TF는 14일 서울 중구 직업능력심사평가원에서 20대 건설사 CEO들과 간담회를 갖고 건설업 중대재해 근절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간담회는 건설 현장의 안전 문제를 해결하고 정부와 기업 간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과 더불어민주당 산업재해예방 TF 김주영 단장 등이 참석했다.
특히, 연이은 사망사고로 수장이 교체된 포스코이앤씨 송치영 대표이사를 비롯해 삼성물산 오세철 대표이사, 현대건설 이한우 대표이사 등 시공 순위 상위 20개 건설사 대표들도 자리를 함께했다.
고용노동부는 이날 간담회에서 건설업 중대재해와 더불어 임금체불 감축에 대한 강력한 당부를 전했다.
지난해 산업현장에서 발생한 사망 사고 589명 중 절반에 가까운 276명이 건설 현장에서 발생했다는 점을 언급하며, 안전 관리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는 데 중점을 뒀다.
이에 삼성물산과 호반건설은 자사의 안전관리 우수사례를 발표하며 현장 안전 강화 노력을 공유했다.
김영훈 장관은 모두 발언에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이 국가의 존재 이유"임을 강조했다.
김 장관은 올해를 중대재해 감축의 원년으로 삼기 위해 정부 모든 부처가 노력하고 있으며 , 7천여 개(7천157개)의 건설 현장을 포함한 총 2만6천개 사업장에 대해 불시 점검을 실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중대재해가 반복되는 기업에 대한 강력한 제재 방안을 관계 부처와 함께 마련 중이라고 덧붙였다.
김 장관은 기업들에게 재해의 원인을 노동자의 행동이 아닌 근본적인 구조에서 찾고, 노동자를 안전 관리의 객체가 아닌 주체로 인정해 달라는 당부도 전했다.
또한 현장에서 위험 상황을 가장 잘 아는 노동자들에게 알 권리, 참여할 권리, 위험을 피할 권리를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4일 서울 중구 직업능력심사평가원에서 열린 중대재해 근절을 위한 건설사 간담회에 참석한 건설사 CEO들이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의 발언을 듣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833/art_17551627162937_000b32.jpg)
김 장관은 특히 "안전 수칙 위반이나 중대재해 발생 시 다양한 경제적 제재 방식을 정부에서 논의 중"이라며 "이런 조치들이 단순히 기업 옥죄기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안전은 노사 모두의 이익을 넘어 국가의 격을 높이는 우리 공동체 모두의 이익"이라며 "정부도 지원할 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산업재해예방 TF 김주영 단장은 "하도급으로 인한 중간착취 구조가 없어지지 않으면 안전사고는 없어지지 않는다"면서 "안전을 비용으로 생각하는 구조는 이제 없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 청년일보=김재두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