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평택항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http://www.youthdaily.co.kr/data/photos/20250939/art_17587125696684_77884a.jpg)
【 청년일보 】 미국의 고율 관세 등 불확실한 대외 여건에도 불구하고, 올해 4분기 수출기업 체감경기는 반도체, 무선통신기기·부품, 선박 등 주력 산업을 중심으로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5일 한국무역협회(이하 무협)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발표한 '2025년 4/4분기 수출산업경기전망조사(EBSI)'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4분기 EBSI는 101.4로 지난해 4분기 이후 1년 만에 기준선(100)을 상회하며 수출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살아났다.
EBSI는 다음 분기 수출 경기에 대한 국내 수출기업들의 전망을 조사 및 분석한 지표로, 100을 기준으로 전 분기보다 개선(악화)될 것으로 예상되면 100보다 큰(작은) 값을 가진다.
품목별로는 15대 품목 중 반도체, 선박, 무선통신기기·부품 등 6개 품목의 수출 여건이 개선될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반도체(145.8)는 메모리 단가 회복과 견조한 인공지능(AI)용 반도체 수요에 힘입어 2분기 연속 수출에 대한 전망이 가장 밝았다.
선박(110.3)은 신조 발주 감소와 LNG 프로젝트 지연 등 시황 둔화에도 불구하고, 미국 마스가(MASGA) 프로젝트 등 대미 조선·기자재 신규 진출 기대감이 고조되면서 4분기 연속 수출 경기 개선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중국과의 경합이 심화된 플라스틱·고무·가죽제품(62.4)과 미국의 관세 인하 시점이 불확실한 자동차·자동차부품(69.3)은 역성장에 대한 우려가 가장 컸다.
항목별로는 ▲수출단가(111.5) ▲수출상담·계약(111.1) ▲설비가동률(104.3) 등 5개 항목이 기준선(100)을 상회했다. 수입규제 및 통상마찰(83.7)은 3분기(67.1) 대비 개선됐으나 여전히 가장 부정적인 항목으로 조사됐으며, 제조원가(86.8)는 3분기(95.8) 대비 가장 크게 하락해 기업들의 원가 부담 우려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4분기 주요 수출 애로요인으로는 '원재료 가격 상승(15.7%/복수응답)'이 가장 많이 꼽혔으며 '수출 대상국의 경기 부진(14.2%/복수응답)', '바이어의 가격 인하 요구(12.8%/복수응답)', '수출 대상국의 수입규제(12.5%/복수응답)' 등이 뒤를 이었다.
옥웅기 무협 수석연구원은 "반도체와 선박 등 주력 품목을 중심으로 수출 경기 개선에 대한 기대가 살아나고 있지만 원가 상승과 통상마찰 등 불확실성이 여전히 큰 상황"이라면서 "기업은 비용 절감 노력과 함께 시장 다변화 및 고부가가치 제품 강화에 힘쓰고, 정부도 현장 중심의 맞춤형 지원을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청년일보=이창현 기자 】